Table of Contents
소개 #
Eclipse의 초기 설정 파일이나, 의외로 모르는 사람이 많다. 사용자의 컴퓨터가 아무리 최신이어도 이 초기 설정파일의 설정이 잘못 되어 있다면 제대로 작업을 진행할 수 없을 것이다.
Eclipse.ini란? #
소개에서 언급했듯이 Eclipse 툴의 설정파일이다. 이것의 중요성은 게임을 예로 들면 간단히 이해할 수 있다. 오버워치라는 나름 고사양 게임을 즐기려면 자신의 컴퓨터의 능력에 따라 하옵, 중옵, 상옵 등(요구사항 및 사용되는 그래픽 수준을 설정할 수 있음)으로 게임을 진행하고는 한다. 물론 하옵, 중옵일 경우 양질의 그래픽은 포기해야 하겠지만, 게임을 즐긴다는 목적을 컴퓨터의 수준이 떨어져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는 매우 끌린다.
Eclipse.ini파일 설정방법 #
위치 #
보통 eclipse의 설정파일은 eclipse설치 폴더에 들어있다. 하지만 MacOS의 경우 파일의 위치가 조금 상이하다. Eclipse.app을 우클릭하여 패키지 내용보기 > Contents > MacOs 폴더에서 찾을 수 있다.
주요 설정 값 #
파일형식이 ini 라는 설정파일이기 때문에 메모장과 같은(노트패드 등) 간단한 문서 편집기로 파일을 다룰 수 있다.
1. -vm
* jdk의 경로를 직접 지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보통 eclipse를 설정하면 컴퓨터
내의 jdk를 지정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초기 설정값에 대해 신경 쓸 필요는 없
으나 jdk를 여러개 설치하고 작업한다면 직접 위치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Dosgi.requiredJavaVersion=1.7
* 사용할 자바 버전을 설정한다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3. -Xverify:none
* 초기 실행시 클래스의 유효성 검사를 할지 말지를 결정한다. 이 단계를 생략하면
최초 이클립스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4. -XX:+UseConcMarkSqeepGC
* 컴파일러의 소수점 최적화 기능 작동 설정
5. -XX:-UseConcMarkSweepGC
* 병행 Mark-Sweep GC를 수행하여 이클립스 GUI의 응답 최적화 설정
6. Xms1024m
* 이클립스가 사용하는 최소 Heap 메모리 크기
7. Xms1024m
* 이클립스가 사용하는 최대 Heap 메모리 크기, 당연히 최소는 최대크기와 같을 수
있으나 더 클 수는 없다. 이 설정을 통하여 이클립스 자원 능력치를 최대로 끌어
낼 수 있으나 자신의 컴퓨터의 메모리를 모두 차지한다면 이클립스 외의 다른 작업
을 병행할 경우 많이 버벅거릴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용메모리의 4분의 1을 최소,
최대 Heap 메모리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8. -XX:PermSize=1024m
* JVM 클래스와 메서드를 위한 공간이다. 드물지만 OutOfMemoryError:PermGen
space가 발생한다면 이 설정값을 늘려야 한다.
9. -XX:MaxPermSize=1024m
* 상기 동일, 물론 최대값은 8번의 최소값보다 같거나 커야한다.
10. -XX:NewSize=256m
* 새로 생성된 객체들을 위한 공간
11. -XX:MaxNewSize=256m
* 상기 동일
마치며 #
위 설정을 통하여 이클립스를 최적화하여 시작할 수 있다. 체감하기에는 더 많은 상황변수가 존재하겠지만 초기 설정을 통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맞춤제작하여 시작한다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은 없을 것이다.
참조 #
http://blog.hanseomgi.com/entry/Eclipse%EC%9D%98-eclipseini-%EC%84%A4%EC%A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