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enetic character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Genetic character #

유전자에 의해서 나타나는 모든 모습이나 성질을 말한다. 유전자에 의해 나타나는 성질로서 겉으로 식별할 수 있는 형태나 색채만이 아니라, 생물의 행동·습성·지능까지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의 색, 피부색, 키, 쌍꺼풀의 유무 등과 같은 겉으로 드러나는 형태나 색채를 비롯하여 혀 말기 능력, 식성, 학습 능력 등 유전자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모든 특징을 말한다.

하나의 유전자가 하나의 형질을 나타내기보다는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가지 형질을 나타내는데 관여하고, 여러 유전자가 관여하여 하나의 형질이 나타나게 된다.

유전형질에 관한 연구는 여러 생물에서 행해져 왔는데, 그 중 대표적인 실험생물인 초파리의 경우 눈의 형태와 색, 몸의 색, 날개의 형태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사람의 경우 야맹증, 혈우병, 색맹, 혈액형, 미맹, 머리카락 색, 피부색, 대머리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됐다.

유전형질에 관한 연구는 생물체의 교배 등을 통해 하게 되는데, 사람의 경우 자유로운 교배가 불가능하므로 직접적인 방법보다는 가계도를 조사하거나, 쌍생아를 비교하여 유전형질을 연구한다.

또한, 유전자에 의해 발현하는 모든 성질. 이처럼 유전하는 모양이나 특정 중에는 눈으로 보이는 모양이나 색 외에 효소나 단백질 등의 생화학적인 것도 있고 또 체내의 조직·기관의 모양이나 기능 등도 포함된다. 최근에는 빛이나 온도 등 환경에 대한 운동·행동·반응성 중에서도 유전형질로 인정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유전형질은 대개 성숙개체(成熟個體)의 특징으로 파악되지만, 생물의 발생과정 중 특정한 시기에만 발현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유전형질은 하나의 유전자 또는 많은 유전자군에 의해 지배되고 환경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도 있다. 유전형질에는 그 형질을 지배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면 즉시 형질로서 발현하는 우성형질과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다른 우성형질에 가려 발현하지 않는 열성형질이 있다. 또 고등생물의 유전형질에는 사람의 색맹이나 혈우병처럼 성염색체 상의 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는 반성(伴性) 유전형질과 ABO 혈액형이나 조직특이항원(組織特異抗原) 같이 상(常)염색체 상의 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는 비반성(非伴性) 유전형질이 있다.

형질의 발현 #

유전자에 의해 전달되는 유전형질이 생물 발생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생물이 실제 발생하고 생장하면서 나타나는 특징인 발현 형질은 유전형질 자체의 특징과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우성과 열성 #

유전형질 자체의 특징으로 인한 것으로는 멘델의 유전법칙에서 정립된 우성과 열성이 대표적이다. 우성 유전인자와 열성 유전인자가 짝을 이룰 경우 우성 인자만이 발현특징으로 나타나고 열성 인자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발현되지 않은 열성 인자 역시 다음 세대로 유전된다. 우성과 열성에는 멘델의 유전법칙과 같이 하나의 유전자 자리에 한 가지 유전인자만이 배치되어 독립의 법칙을 따르는 경우도 있으나, 한 유전자 자리에 다수의 유전인자가 선택적으로 들어서는 양적 형질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대표적인 양적 형질 위치에 따른 우성과 열성의 발현은 인간의 혈액형을 들 수 있다. ABO 혈액형에서는 A형 인자와 B형 인자가 같은 유전자 자리에 선택적으로 들어서는 우성이고 O형 인자는 열성이다. 그 결과 왼쪽의 표와 같이 양쪽 부모로부터 O형 인자를 물려받는 경우에만 O형 혈액형이 발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AA와 AO는 모두 A형으로 BB와 BO는 모두 B형으로 AB는 AB형으로 발현한다.

우성과 열성의 중간쯤 되는 것으로 불완전 우성(incomplete dominance)이 있다. 이는 유전자 간의 우열관계가 일정하지 않아 중간 형질이 나타나거나, 다른 유전자의 영향을 받아 여러 가지 우성, 또는 열성의 형질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환경의 영향 #

발현 형질은 유전자의 특성뿐만 아니라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파충류 대부분은 별도의 성염색체가 없어 알이 놓인 온도에 따라 암수로 발생한다. 거북은 대개 따뜻한 곳에 낳은 알이 암컷이 되고 응달의 알은 수컷이 된다. 미국산 악어는 반대로 따뜻한 곳의 알이 수컷이 된다.

포유류의 경우 X 염색체, Y 염색체와 같은 성염색체에 의해 수정 단계에서 성별이 결정된다. 그러나 포유류 역시 샴 고양이의 온도 민감성 돌연변이와 같이 환경에 의해 발현 형질이 달라질 수 있다.

참고문헌 #

http://www.doopedia.co.kr
https://www.scienceall.com
최현석, 아름다운 우리 몸 사전, 지성사, 2006, ISBN 89-7889-135-7, 283-285쪽
멘델의 논문(영문): Gregor Mendel (1865).
이인식, 성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8, ISBN 89-374-2410-X, 114쪽
Imes, DL; Geary; Grahn; Lyons (2006). "Albinism in the domestic cat (Felis catus) is associated with a tyrosinase (TYR) mutation.". Animal genetics 37 (2): 175–8. doi:10.1111/j.1365-2052.2005.01409.x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