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ome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Virome #
Virus(바이러스)와 genome(게놈)의 합성어로서 바이러스 군집이 가지고 있는 모든 유전자의 정보를 virome(바이러스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체를 감염시킬 수 있으며, 생물이 존재하는 거의 모든 곳에 함께 존재할 수 있다. Virome은 Human의 microbiome을 본따 지어진 이름이지만 꼭 장내 바이러스만으로 제안되지 않는다.
Virome 군집 분석 #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메타지놈 연구는 현재 굉장히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구와 마찬가지로 환경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연구하기 위하여 세균 등과 분리하고 이들의 DNA와 RNA를 추출하여 바이러스 다양성을 조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002년에 해수의 일부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바이러스 메타지놈 라이브러리 구축 및 분석 논문이 보고되었고, 뒤를 이어 사람의 분변에서 바이러스 메타지놈 분석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DNA 바이러스 외에도 사람의 분변의 RNA virus의 메타지놈 연구도 보고되었다. 이후, 유아 분변에서 바이러스 메타지놈 분석 논문이 발표되었다.
장내 바이러스 메타지놈 #
장내 세균의 군집 분포 변화는 에너지 대사 및 면역 관련 질병, 유입 약물 대사와 깊은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가 늘어감에 따라, 박테리아 군집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서 바이러스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바이러스는 장내 미생물군의 주요 구성원으로, 장내 바이롬(virome)의 불균형(viral dysbiosis)이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면역 질환에서 관찰되고 있다.
장내 바이러스 메타지놈 연구는 pathogenic RNA viruses와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적용되기도 하였다. 설사증을 가진 유아의 장내 RNA viruses와의 연관성을 밝힌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소아마비(acute flaccid paralysis) 어린이의 장내 바이러스체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졌다.
최근 연구들에 의해 분석된 바이러스체의 염기서열을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도 약 10% 수준의 유전자만이 상동성을 가지고 있고 나머지 90%의 유전자는 아무런 상동성을 발견할 수 없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생태계 내 바이러스의 다양성이 무궁무진함을 알 수 있다.
바이러스는 무조건 해롭다는 인식과 달리, 장내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이 인체 면역 체계의 형성·발달·유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시되고 있다. 장내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장내 바이롬이라는 복합체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도 필요한 만큼 해당 연구가 앞으로는 굉장히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