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A DB
Notes on Foods(3)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Database
USDA 미국 국가 영양소 데이터베이스 식품에 관한 주의사항 #
식품에 관한 주의사항 (3) #
과학적 품질 검증을 위한 기존 데이터 평가
1997 년에 NFNAP가 시작되면서 SR의 식품 구성 값은 USDA 영양소 데이터 연구소(NDL)에 의해 과학적 품질에 대한 검토가 진행되었다. 당시 데이터베이스의 많은 식품에 대한 데이터는 제한된 수의 값을 기준으로 정확한 문서가 부족하고 불확실한 출처의 일부 샘플을 포함하여 10 년 이상 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기존 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고 문서화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NDL 과학자들은 데이터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전문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전문 시스템은 아래의 5가지 데이터 품질 지표에 대한 평가 및 문서화에 집중하였습니다.
- 샘플링 계획
- 샘플 조작
- 분석 된 샘플의 수
- 분석 방법론
- 분석 품질 관리
이 시스템은 isoflavones (USDA, 2008), choline (USDA, 2004), proanthocyanidins (USDA, 2015), fluoride (USDA, 2005) 및 flavonoids (USDA, 2015)를 포함하는 다량의 데이터베이스 생산에 사용되었습니다.
이 과정은 SR에있는 식품에 대한 모든 분석 영양소 프로필에 대한 데이터 품질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많은 식품 프로파일에는 데이터 품질 정보가 부족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NDL은 알려진 표본 추출, 분석 방법론 및 품질 관리에 대한 핵심 데이터 세트를 수립하기 위해 주요 식품 목록에 있는 식품 항목에 대한 포괄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미국 식품에 대한 확률 기반 샘플링 설문 조사 작성 및 구현
미국 농무부 농업 통계국 (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Service, USDA)의 통계학자와 협력하여 NDL 스텝들은 확률 기반 식품 샘플링 방법을 (PPS, probability-proportional-to-size) 개발했습니다. 이 접근법은 주어진 음식에 대한 국가 대표 데이터를 개발할 수 있게 합니다. 최초의 NFNAP 식품 시료 샘플링 설계는 인구 밀도가 거의 비슷한 48개 국가의 4개 지역을 포함하는 계층 설계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개정된 PPS 샘플링 디자인은 2000년 미국 Census 데이터로 개발되었으며, 2001년 Census Bureau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예상 인구 규모 및 Census Bureau 지역의 계층화된 설계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지리적으로 분리된 48개 자치주에서 1단계 선별을 하였고, 2단계 선별은 슈퍼 마켓과 아울렛에서, 3단계 선별 시에는 특정 식품으로 하였습니다. 이 위치의 부분 집합으로 특정 식품 품목과 영양소의 요구 사항, 계량 변동성과 안정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의 배수는 더 많은 표본이 있어야 하는 연구, 즉 양분의 넓은 변동성이 예상 되거나 기존의 자료가 제한적 이거나 존재하지 않는 연구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luoride는 식수에서 매우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국립 농무부(USDA)의 연구에서 식수는 144개 장소와 2계절에 걸쳐 샘플링되었습니다. 표본 추출 전략을 설계할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주요 식품 과정에서 확인된 소비를 적게하는 식품 또는 식이 요법에 크게 기여하지 않았거나 저농도 또는 미량 농도로 존재하는 식품의 영양소에 대해 분석된 시료가 더 적다는 것입니다. 2010 년 US Census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샘플링 계획이 개발되어 향후 샘플 수집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특정 식품은 시장 점유율에 따라 샘플링 방식에 따라 선택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주요 식품 목록을 검토 한 결과 피자가 많은 영양소의 주요 원인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패스트 푸드 피자 레스토랑에서 구입 한 피자와 냉동 및 가열 식품으로 구매 한 피자는 일반적으로 많이 소비되기 때문에 NDL은 슈퍼마켓에서 구매하는 여러 유형의 식품 (예: 치즈, 페퍼로니, 페퍼로니 및 소세지, 고기 또는 야채) 및 브랜드 식품(예: 주요 국가 브랜드 및 상점 브랜드)을 분석했습니다.
주요 국가의 패스트 푸드 가맹점의 피자 중 몇 가지 유형(예: 치즈, 페퍼로니 및 고급)은 개별 레스토랑에서 구매한 것입니다. 냉동 피자의 경우 각각의 유형과 국가별 브랜드를 준비했습니다. 패스트 푸드 레스토랑 피자에는 각 유형 및 브랜드의 무작위로 추출된 3개의 샘플로 구성된 4개의 합성물로 준비했습니다.
식품은 소매점에서 테스트 한 선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USDA 지정 전문 제품 픽업 회사의 계약하에 구입했습니다. 이 식품 샘플은 버지니아 주 블랙스버그(Blacksburg)의 버지니아 텍(Virginia Tech)에 있는 식품 분석 실험실 제어 센터(FALCC)로 보내졌습니다. 시료 채취, 준비 및 보관을 위한 절차가 개발되었고, 새로운 식품 시료에 필요한 경우 수정할 수 있습니다. FALCC는 샘플 균질화 및 합성을 위한 프로토콜을 지속적으로 개발합니다.
FALCC는 NDL의 지침에 따라 샘플을 균질화하고 합성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지속적으로 개발했습니다. FALCC는 필요에 따라 식용 및 비식용 부분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중량 정보를 수집하고 문서 처리와 준비 절차를 문서화 했습니다. 준비된 샘플은 국립 농무부의 지시에 따라 분석을 위해 USDA 승인을 받은 분석 실험실로 운송됩니다. 각 식품의 보관 및 보관 샘플은 FALCC에서 관리합니다. 샘플 채취 계획은 특정 영양소 또는 고유 식품에 관한 특정 연구의 요구 사항에 따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의 수돗물 샘플링을 통해 불소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도록 수정할 수 있습니다. 수정된 샘플링 계획은 지리적으로 별개의 지역에 있는 특수 인구 집단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s Cited in the Documentation #
- Holden JM, Bhagwat SA, Patterson KY. Development of a multi-nutrient data quality evaluation system. J Food Comp Anal 2002;15:339-48.
- Holden JM, Bhagwat SA, Haytowitz D, Gebhardt S, Dwyer J, Peterson J, Beecher GR, Eldridge AL. Development of a database of critically evaluated flavonoid data: application of USDA’s data quality evaluation system. J Food Comp Anal 2005;18:829-44.
- Pehrsson PR, Haytowitz DB, Holden JM, Perry CR, Beckler DG. USDA’s national food and nutrient analysis program: food sampling. J Food Comp Anal 2000;12: 379-89.
- Pehrsson PR, Perry CR, Cutrufelli RL, Patterson KY, Wilger J, Haytowitz DB, Holden JM, Day CD, Himes JH, Harnack L, et al. Sampling and initial findings for a national study of fluoride in drinking water. J Food Comp Anal 2006;19:S45-52.
- Perry CR, Beckler DG, Bellow ME, Gregory LG, Pehrsson PR. Alaska Native and American Indian Tribe Sampling Frame Construction and Sample Design for the National Food and Nutrient Analysis Program. Version current 2001.
- Perry CR, Pehrsson PR, Holden J. A Revised Sampling Plan for Obtaining Food Products for Nutrient Analysis for th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Version current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