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A DB
Explanation of file format 1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Database
USDA 미국 국가 영양소 데이터베이스 파일 형식 설명 #
파일 형식 설명 (1) #
영양소 데이터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조직 형식임
-
관계형 포맷으로 네 가지 주요 파일과 여섯 개의 지원 파일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며, 관계 형식은 다음과 같음
- 모든 음식, 영양소 및 관련 데이터
-
다른 하나는 약식 포맷으로 모든 식품 품목은 있지만, 영양소는 적고 다른 모든 관련 품목은 포함되어 있지 않음
- 약식 포맷에는 전분, 개별 설탕, 불소, 인, 비타민 D2 또는 D3, 비타민 E 첨가, 비타민 B12, 알코올, 카페인, 테오브로민, 식물 스테롤, 개별 아미노산 또는 개별 지방산 등 정보 포함
관계형 파일 #
- 네 가지 주요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식품 설명 파일, 양분 데이터 파일, 그램 무게 파일 및 각주 파일
- 8개의 지원 파일은 Food Group Description 파일, LanguaL Factor 파일, LanguaL Factor 설명 파일, Nutrient Definition 파일, Source 코드 파일, 데이터 유도 코드 설명 파일, 데이터 소스 및 소스 데이터 링크 파일.
- <표. 1>은 각 파일의 레코드 수를 보여줌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러한 파일을 다양한 조합으로 연결하여 질의하고 보고서를 생성함.
- <그림 1>은 다음과 같은 관계의 다이어그램을 제공.
관계형 파일은 ASCII (ISO / IEC 8859-1) 형식과 Microsoft Access 2007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되어있음
- 이 파일들 사이에 만들 수 있는 관계에 대한 정보도 제공
- 항상 공백이나 null로 남겨 둘 수 있는 데이터와 필드를 포함하는 필드에서 식별됨
- "Blank" 열: N은 항상 채워지는 필드를 나타냄
- Y 인덱스는 공백으로 남겨 둘 수 있음
- 별표는 파일의 기본 키를 나타냄
- 키가 ASCII 파일에 대해 식별되지는 않지만 파일 설명은 NDBS 내에서 레코드를 정렬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이 됨
- 이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키가 파일에 대해 식별되는 경우 중요 함
- 데이터를 추출할 경우 여기에 나열된 키를 사용하면 됨
- 특히 두 가지를 사용하는 양분 데이터 파일을 사용
<표. 1> 주요 파일 및 추가 파일내의 레코드 수
출처: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미국 농무성 국제 식품 영양 표준 데이터베이스, https://www.ars.usda.gov/)
ASCII 파일의 모든 필드는 캐럿 (^)으로 구분되며 텍스트 필드는 물결 무늬 (~)로 둘러 쌓여 있음 * 이중 캐럿 (^^) 또는 두 개의 캐럿과 두 개의 물결표 (~~)는 필드가 null이거나 비어있는 경우 형식임 * 형식 설명서에는 각 필드의 이름, 유형 [N = 너비 및 소수 자릿수 (w.d) 또는 A = 영숫자로 숫자 최대 레코드 길이를 나타내지만, 데이터 파일의 실제 길이는 그다지 길지 않을 수 있고 최신 업데이트가 되면 변경됨 * 데이터가 채워질 때 가져올 때 값 뒤에 0이 채워집니다. 사용된 형식에 따라 다양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그림. 1> USDA 참조표준 DB 파일간의 관계 다이어그램
출처: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미국 농무성 국제 식품 영양 표준 데이터베이스, https://www.ars.usda.gov/)
References Cited in the Documentation #
- Adams CF. Nutritive value of American foods in common unit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Handbook 456, 1975.
- Ahuja JKC, Perloff BP. Quality control procedures for the USDA food and nutrient database for dietary studies nutrient values. J Food Comp Anal 2008;21:119-124.
- AOAC International.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9th ed., Gaithersburg, MD: AOAC
- International, 2012. Version current 2012. Internet: http://www.aoac.org (accessed 07July 2015)
- Booth SL, Sadowski JA. Determination of phylloquinone in food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Enzymol. 1997;282:446-456.
- Byrdwell WC, Devries J, Exler J, Harnly JM, Holden JM, Holick MF, Hollis BW, Horst RL, Lada M, Lemar LE, et al. Analyzing vitamin D in foods and supplements: methodologic challenges. Am J Clin Nutr 2008;88(2):554S-557S.
- Chun J, Martin JA, Chen L, Lee J, Ye L, Eitenmiller R. A differential assay of folic acid and total folate in foods containing enriched cereal-grain products to calculate ug dietary folate equivalents (μg DFE). J Food Comp Anal 2006;19(2-3):182-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