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TNM 병기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TNM 병기체계(TNM staging system) #

TNM 병기체계란? #

TNM 병기는 종양의 병기를 결정하는 한 방법으로 질병의 진행 정도를 나타낸다.
TNM 병기 체계에서는 원발 종양의 해부학적 범위, 국소 림프절 전이 여부, 원격 전이 여부에 따라 종양의 병기를 구분한다.
T는 원발암이 생긴 장기에서 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를 나타낸다.
N은 원발암이 생긴 장기에서 국소 림프절에 대한 침범 여부를 나타낸다.
M은 국소 림프절 침범을 넘어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타 장기에 전이된 여부를 나타낸다.

TNM 병기체계 상세 #

TNM 병기 표시 이후에는 각 문자 뒤에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숫자가 표기된다. (예: T1N0MX)
T (종양)
TX: 종양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T0: 종양의 증거가 없는 경우
T1, T2, T3, T4: 종양의 크기 및 침윤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T와 결합된 숫자가 더 커질수록 종양의 크기가 커지거나 주변 조직으로 더 많은 침윤을 일으키게 된다.
N (국소 림프절)
NX: 림프절에서 암조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N0: 암조직 주변 림프절에 침범한 암 조직이 없는 경우
N1, N2, N3: 주번 림프절에 침범한 암 조직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숫자가 증가하게 된다.
M (원격 전이)
MX: 암조직이 전이의 가능성이 낮은 경우
M0: 암조직이 다른 장기 및 신체 조직으로 전이되지 않은 경우
M1: 암조직이 다른 장기 및 신체 조직으로 전이된 경우

출처, NIH National Cancer Institute

방광암에서의 T 분류 #

아래 이미지는 방광암에서 TNM 병기 중 T를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CIS란 TIS(This stage is carcinoma in situ), 즉 종양이 시작된 세포에서만 존재하고 주변 조직으로는 퍼지지 않은 종양, 즉 0기의 암을 의미한다.
Ta란 비침습성 유두암을 의미하며 T1~T4에 이르기까지 점점 숫자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ladder
출처, Wikipedia 출처, Cancer.net

유방암에서의 TNM 병기 #

T1
#

  • 종양의 최대 직경이 2cm 이하로 측정된 경우
  • T1mi는 종양이 0.1cm 이하
  • T1a는 종양이 0.1cm 이상 0.5cm 이하
  • T1b는 종양이 0.5cm 이상 1cm 이하
  • T1c는 종양이 1cm 이상 2cm 이하
    breast_cancer_t1

T2
#

  • 종양의 최대 직경이 2cm ~ 5cm 로 측정된 경우

breast_cancer_t2

T3
#

  • 종양의 최대 직경이 5cm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breast_cancer_t3

T4
#

  • 종양이 흉벽으로 퍼지거나 피부로 침범한 경우 그리고 림프관이 막혀 염증성 종양이 된 경우

breast_cancer_t4

N0
#

  •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N1 #

  • pN1mi: 하나 이상의 림프절에 0.2mm 큰 종양이 포함된 경우
  • pN1a: 1~3개의 암세포가 림프절로 전이된 경우
  • pN1b: 흉골 뒤의 림프절에 암세포가 생검으로 발견된 경우
  • pN1c: 겨드랑이에서 1 ~ 3개의 림프절과 흉골 뒤의 림프절에 암세포가 있는 경우

N2 #

  • pN2a: 겨드랑이의 림프절 4~9개에서 암세포가 있고 그 중 하나는 2mm보다 큰 경우
  • pN2b는: 흉골 뒤의 림프절에 암세포가 영상장비로 관찰되는 경우

N3 #

  • 전이된 림프절의 개수가 10개 이상인 경우

breast_cancer_n3

M: 전이 #

  • M0: 암이 전이 되었다는 징후가 없는 경우
  • cM1: 암이 전이 되어 영상장비에서 보이는 경우
  • pM1: 지름이 0.2m 이상인 종양이 다른 장기 및 조직으로 전이된 경우 생검, 수술, 영상장비에서 검사하여 확인된 경우

breast_cancer_M
출처, CancerReseachUK
출처, 한국 유방암 학회KBCS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