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TCR(T-cell Receptor) #
Find similar titles

TCR(T-Cell Receptor) #

T-Cell #

인간이나 그와 가까운 관련 종들을 살펴보면, 세포 간의 면역은 T-cell(T 림프구)에 의하여 조절된다. 또한 B-cell에 작용하여 항체를 생산하고, 대식세포에 작용하여 대식세포를 활성화한다. CTL(cytotoxic T cell)에 작용하여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함으로써, T-cell은 직접적으로 질병에 대한 위협을 발견하고 중재하는 역할에 관여한다.

T-Cell 의 종류 #

1. 조력 T 림프구(Helper T Cell)
: 면역반응의 조절, CD4+, CD8- T Cell이 해당함.
: class II MHC와 항원에 의해 제한됨.

2. 세포독성 T 림프구(cytotoxic T Cell, CTL)
: 세포 살해, CD4-, CD8+ T Cell이 해당함.
: class I MHC와 항원에 의해 제한됨.

Image

TCR(T-Cell Receptor) #

T-cell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TCR"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세포외의 receptor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TCR은 선택적으로 항원을 나타내는 세포(antigen-presenting cells, APCs)의 표면에 붙어있는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에서 나타나는 특정한 항원(antigen)에 반응하는데, 즉 T-Cell은 항원을 반드시 MHC 분자를 통하여 인식한다. 이렇게 TCR에 의해 인식된 항원은 T-cell의 반응을 촉진하게 되고 그를 통해 백혈구에서 신체의 방어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인 cytokine을 분비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면역반응이 확산된다.

Image

TCR과 항원(antigen)의 특정한 반응에서 알 수 있듯이, TCR은 질병에 대한 각기 다른 여러 항원을 만날때마다 다른 TCR을 통해 반응해야 하므로 매우 다양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TCR은 두 가지의 비슷한 크기의 단백질 사슬이 모여서 이루어진 세포막 단백질로, 대부분의 말초혈액 T-Cell들은 α와 β 사슬로 구성된 TCR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의 T-Cell 들이 γ와 δ 사슬로 구성된 TCR을 가지고 있다.

α, β T-Cell Receptor #

α, β T-Cell Receptor는 α와 β chain 두가지 단백질이 서로 공유결합 되어 세포막에 존재한다.

α와 β chain 은 모두 40 ~ 50 kDa의 분자량을 가진 세포막 당단백질
α와 β chain 은 세포막에서 CD3 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함.

α chain 과 β chain 단백질 사슬은

단백질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이 V region domain 과 C region domain으로 구성됨.
1. V region은 약 1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여러 개의 유전자 조각(gene segment)로 구성
  - α chain은 항체의 light chain과 유사하며 V, J 유전자 조각으로 구성됨.
  - β chain은 항체의 heavy chain과 유사하며 V, D, J 유전자 조각으로 구성됨.
2. C region은 138 ~ 17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항체의 C region domain과 비슷한 구조를 가짐.

TCR의 α와 β chain의 V region의 일부가 MHC 단백질의 binding cleft에 있는 helical side chain과 항원의 peptide에 직접 상호작용한다.

Image

γ, δ T-Cell Receptor #

γδ T-Cell Receptor는 성숙중인 흉선세포(immature thymcyte)에서 나타나며, αβ TCR을 발현하지 않는 소수의 특정한 T-Cell에서만 발현한다(생화학적으로는 αβ TCR과 매우 유사함).

γδ T-Cell Receptor은 αβ TCR과는 매우 다르다.

γδ 을 발현하는 T-Cell은 αβ를 발현하는 T-Cell과는 별개의 세포이며, 보통 소장의 점막이나 상피조직에 존재한다.    
항원 인식도 MHC에 의해 제한적이지 않다.    
(결핵균의 Purified protein derivatives나 heat shock protein 등을 인식)

TCR의 각 항원에 대한 다양성 #

TCR의 다양성을 형성하는 과정은 antibody(항체), B cell receptor와 같은 방법인 각 T-cell에서의 segment들을 번역하는 DNA의 recombination을 통해 각 TCR이 다양하게 형성된다. 즉, variable(V), joining(J), diversity(D)유전자들과 N region 이 어떻게 조합되는가에 따라서 각각 TCR이 달라지게 된다.

Image

Image

참조 #

T 림프구 면역학 http://cafe.naver.com/bokheeho/114
https://en.wikipedia.org/wiki/T-cell_receptor
https://en.wikipedia.org/wiki/V(D)J_recombination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