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Phytochemical #
Phyto(=plant)와 chemical의 합성어로 식물체에서 유래하는 미량의 천연 화학물질의 총칭이다. 해충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 스트레스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자손번식과 경쟁식물의 생장 저해 등의 역할을 하며, 식물의 특유한 색과 향, 맛을 만들어낸다. 영양소에 속하지는 않으나 제7의 영양소로 불릴 만큼 항암, 항산화, 항염증 등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비타민과 무기염류가 풍부하고 암예방, 항산화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염증 감소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의약품이나 식품 원료 등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토마토의 붉을색을 내는 라이코펜, 마늘의 강한 맛을 내는 알리신, 식물성 여성호르몬인 콩의 이소플라본 등이 이에 속한다.
종류 #
-
기타
[Phytochemical 색깔별 분류]
응용 #
비만, 당뇨 예방하는 사과 출시 예정 -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있는 작물식품연구소는 비만을 예방하고 혈당 수치를 건강하게 유지해주는 사과를 개발 - 사과에 들어 있는 천연 성분인 플로리진이 제2형 당뇨를 가진 사람들의 혈당 수치를 상당히 낮추어 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으나, 사과 하나에 들어 있는 양이 몇 밀리그램밖에 안 되기 때문에 플로리진 수치가 현재 시판되는 사과들보다 10∼50배 정도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사과를 시판할 예정 - 플로리진이 사과나무 잎사귀 등에 상당히 많이 들어 있으며, 자신들은 그것을 과일에 농축시키려 하고 있음.
주의점 #
Phytochemical은 수확 시점부터 빠르게 손실되며, 자연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무조건 체내 흡수율이 좋은 것은 아니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섭취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음식물의 복용으로는 드물고, 보충제 형태로 섭취 시 상대적으로 흡수율이 낮다고는 하지만, 농축제제 등의 형태로 장기간 과량의 phytochemical을 복용하게 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Reference #
- blog.naver.com/kfdazzang/60089877213
- blog.naver.com/chsnuh/220907199382
- blog.naver.com/baristaesp/110174424153
- terms.naver.com/entry.nhn?docId=1232768&cid=40942&categoryId=32315
- 항비만 특성 피토케미컬 함유 채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첨단기술정보분석
- 삼성서울병원 건강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