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utrigenomics #

Find similar titles

9회 업데이트 됨.

Edit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질병에 미치는 요인은 크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만성 질환은 다수의 유전자가 관여하고 환경적 요인이 포함되는 복합적인 양상을 가진다. 식이 요인은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으로, 질병과 관련된 유전체 정보와 식이요인(영양소)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하는 학문이 바로 영양유전체학이다.

영양소에 의한 발현체, 단백체, 대사체의 변화를 대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다. 또한, 개인별 유전체 상이한 정보(유전적 다형성)에 따른 영양소와의 상호작용 결과는 달리 나타나며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영양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다. 식이요인의 역할을 규명함에 따라 다양한 만성 질환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 가정을 기본으로 연구되고 있다.

1. 특정 환경이나 사람에게는 식이가 여러 질환의 심각한 위험인자일 수 있다.
2. 일반적인 영양 화합물은 인간 유전체에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유전자 발현과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다.
3. 식이가 건강과 질환의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는 각 개인의 유전적 구성에 의존한다.
4. 식이에 의해 조절되는 일부 유전자는 만성질환의 개시, 발병, 진행이나 경중을 나누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영양조건, 상태, 유전형에 대한 지식 기반한 식이 개입("맞춤 영양")은 만성 질환을 예방, 완화하거나 치료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참고자료 #

Suggested Pages #

0.0.1_20231010_1_v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