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GS 활용 임상유전체 분석 - Somatic cancer #
Find similar titles

Somatic mutation #

Cancer는 somatic cancer와 hereditary cancer로 나뉜다.
먼저, 태어날 때부터 부모의 유전적인 소인을 물려받아 발생하는 유전성 암(Hereditary cancer) 질환이 있다. 원인 변이로써 실제 암의 발병에 미치는 영향은 약하지만, 부모가 물려주는 유전적인 경향(Familial)을 통틀어 생식세포 변이(Germline mutation)라 하는데, 이런 경우는 전체 암 질환이 일어나는 원인의 15~30%밖에 설명을 못한다.
더 많은 경우가 태어난 후 여러 이유로 인해 암이 자연 발생적으로(Sporadic) 만들어진다. 이 경우(Somatic cancer) 원인 변이는 특정 장기나 조직에만 국한된 체세포 분열 과정에서의 변이라는 뜻에서 체세포 변이 (Somatic mutation)이라 한다.

Image

체세포 변이에는 단일 염기 변이(single nucleotide variation), 구조변이(structural variation), 염색체 이수성(aneuploidy) 등 여러 형태의 변이가 존재한다. 특정 암 유형은 화학약물, 자외선, 흡연 등에 노출돼 특정 돌연변이와 복원 메커니즘이 고장 나서 발생하는 체세포 단일 염기 변이에 의해 분류된다. 큰 범위의 구조변이는 염색체 제거(deletion), 삽입(insertion), 반전(inversion), 순차중복(tandem duplication), 전좌(translocation), 복합적 재배열(complex rearrangement) 등으로 인해 암에서 정상 유전자의 기능에 영향을 끼친다. 암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특정 유전자의 변이는 한 번에 오지 않고 여러 단계에 걸쳐서 온다. 아래 그림처럼 대장암이 일어나는 단계는 정상세포에서부터 여러 유전자의 변이들이 생겨 점막의 과증식 및 용종(adenoma)이 생기고, 다시 주요 암 억제 유전자의 변이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대장암이 발병한다. 각 암종마다 주요 유전자가 관여하는데 이들 유전자의 변이만 알면 암의 진행단계를 알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같은 장기의 암이어도 유전자의 변이가 모두 다르므로(heterogeneity) 이 다른 유전적인 차이에 따라 암의 예후, 치료, 재발 등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이 맞춤의학의 시작이다.

Image

Reference #

http://www.medigatenews.com/news/4162138994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