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체군 생태학 #
단일 종의 여러 개체가 한 서식지에서 상호작용하며 무리를 이루고 있을 때, 개체군이라 명하며 이러한 개체군이 서로 다른 서식처에서 상호작용하는 것을 metapopulation이라 한다.
Richard Levin's model #
Metapopulation의 가장 classical 이론으로 metapopulation의 기본적인 조건을 설명하고 있다. 1. Metapopulation은 colonization(서식지생성)과 extinction (소멸)을 반복한다. 2. 각 서식지간(patch) 개체의 이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동일 종의 유전적 다양성 #
Metapopulation은 제한된 환경조건에서 종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종내 유전적 다양성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특정 생물종이 서로 다른 서식지에 적응하며 유전적 다양성을 지니게 되면, 비록 한 서식지에서의 멸종이 발생한다고 해도 다른 서식지에서 이를 회복 시킬수 있기 때문에 종을 보존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종내의 번식 방법 및 다른 서식처를 생성하는 colonization 연구를 통해 현재 열악한 환경 조건에 의해 멸종되어 가는 생물종을 복원하는 방법을 고안할 때, 유용한 방법을 제시하게 해 준다.
Metapopulation 연구 방법 #
서로 다른 서식지의 개체군들의 조상이 같은지 혹은 현재 서식지의 개체군이 어디로부터 유래된 것인지를 연구하고자 할 때, 개체군들의 유전적 동일성을 바탕으로 확인한다. 이때 한 서식지 내의 개체군들은 개체번식을 통해 patch 형성을 했으므로, 동일 조상에서 유래 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서로 다른 서식지의 개체들을 대상으로 유전적 동일성을 판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마커를 주로 사용하였다.
- SSR 마커
- mtDNA의 COXI 유전자 마커
- SNPs 마커
이들중 시퀀싱 기술의 발달로 유전체 전반에 걸친 SNPs마커가 최근들어 그 활용성이 커지고있으며, 유전적 동일성을 판단하기에 가장 많은 정보를 지닌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