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SA의 새로운 항생제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Table of Contents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다제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또는 '옥사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ORSA)이라고도 한다. 정의에 따라 페니실린(메티실린, 디콜록사실린, 납실린, 옥사실린 외)과 세팔로스포린을 포함한 β-락탐계 항생물질에 내성을 획득한 황색포도상구균은 MRSA가 된다.
연구배경 #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MRSA 감염률이 줄어들고는 있지만, 2013년 미국에서의 감염 집계 현황을 볼때 9,937명이 사망한 사례를 본다면, 아직도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음을 알수 있다. 본 연구는 미국 버지니아텍에서 기존 항생제와 차이를 보이는 새로운 항생제를 제안하고자 연구되었다.
연구내용 #
cis-1,2-diaminocylohexane 전이금속 복합체 합성 #
- 쉽게 분해 되지 않아 인체에서 감염증에 대항하는 항생제를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 이리듐(Ir)이 포함된 새로운 물질들에 대한 추ㅏ 실험에서 동물이나 동물세포에 대해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Time-kill measurements #
- cis-1,2-diaminocyclohexane에 결합된 전이금속에 노출시킨 경우, S. aureus과 MRSA srain 을 4ug/ml MIC(최소억제농도)에서 6시간만에 99% 항균 효과를 보임.
결과 #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전이 금속 복합물질은 특이적 구조와 활성의 연관관게로 인해 세균만 사멸시키는 것으로 밝혀짐.
- 1,2-diaminocyclohexane cis isomer 복합체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임.
- 향후 신규 물질들의 안정성, 생체 내 분배, 동물 실험 등을 통해 새로운 단계의 활성 메카니즘을 규명할 계획임.
- human cell 실험에서 세포들이 정장적이고 건강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는 결과를 기반으로 항생제 저항성이 발생되지 않는 항생제임을 확인하고, 미국 유럽에서 MRSA의 확산으로부터의 위협을 극복하기 위한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Reference #
-Journal Reference: G. W. Karpin, D. M. Morris, M. T. Ngo, J. S. Merola, J. O. Falkinham III. Transition metal diamine complexe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Med. Chem. Commun., 2015; 6 (8): 1471 DOI: 10.1039/C5MD00228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