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S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Management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MS)은 말 그대로 실험실에서 생산되거나 취급되는 정보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필요성 #
실험실은 다수의 연구자들이 협업하며,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많은 샘플들을 다양한 시약과 장비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실험하는 공간이다. 구성원의 변동이 거의 없는 정적인 실험실이라면 모를까, 특히 학생들로 구성된 실험실의 경우, 또는 이직율이 높은 연구소의 경우 샘플, 장비, 시약 등의 정보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오랜시간 실험실에서 쌓아온 샘플, 자료, 경험의 소실을 유발한다. 대다수의 실험실에서 화이트보드, 엑셀, XX관리대장 등의 문서를 활용하여 실험실 정보 관리 체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오프라인 성격의 매체의 한계로 효율적인 관리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물론 소규모 실험실에서는 이러한 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오히려 더 효율성이 높을 수 있다. 하지만 10명 이상의, 특히 구성원의 교체율이 높고 동시 협업이 많이 요구되며 연구자료가 많고 그 기간이 길다면 이와 같은 자료들을 전자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관리 대상 정보 #
각 실험실마다 규모, 연구대상, 운영목적 등이 다르므로 관리 대상이 되는 정보와 관리 방법에 따라 구축하고자 하는 LIMS에 어떤 기능을 요구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자원관리 #
LIMS에 요구되는 기능 중 하나는 자원관리(ERP) 프로그램으로써의 LIMS이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는 조직의 효율적인 경영 및 운영 지원을 위한 통합 시스템으로, LIMS에서는 실험실의 샘플, 재고시약 및 초자류, 실험기기 관리등의 물품관리와 연구원, 연구노트, 논문, 회의실 예약 등의 추가적인 정보 및 운영 지원과 같은 기능들로 요구된다. 대표적으로 ERP로써의 LIMS 성격이 부각된 프로그램으로 LabCollector가 있다.
실험 서비스 관리 #
최근 실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처 회사들이 많아지면서,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즉 고객으로부터 샘플을 받은 후 제공할 프로토콜/서비스(Standard Operation Protocol, SOP)을 정하고 해당 실험을 수행할 실험자를 선정하여 그 결과를 입력하면 고객이 그 결과를 확인하여 최종 결제까지 이어지는 일렬의 과정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사용자 계층(고객, 실험자, 실험 관리자, 회계담당자 등)과 요구되는 기능이 다양하고 복잡하여 도입시 효율성이 높아지지만 이용자들의 도입 의지가 많이 필요한 시스템이다. 대표적으로 ClarityLIMS와 같은 프로그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