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M
#
Find similar titles
- (rev. 6)
- green
Structured data
- Category
- Experiment
LCM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
동기 #
생물 조직은 여러 가지 종류의 세포가 혼합된 복합체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생물학적인 의미를 효과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관심 세포의 순수한 시료를 확보해야한다. 이를 위한 접근법 가운데 하나인 레이져를 사용한 순수 시료를 확보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정의 #
LCM이란 시각을 통해 이종 혼합 조직으로부터 특정세포를 추출하는 자동화된 샘플 수집 기술이다. 현미경과 레이져를 통해 미세한 부분까지 절제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순도 높은 영역을 분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
연구하고자 하는 조직을 얇게 썰어 슬라이드 위에 얹거나 혹은 혈액을 도말하여 준비된 슬라이드를 현미경에서 관찰하면서 그위에 CapSure™ 혹은 CapSure HS™라고 하는 LCM 전용 cap을 올려놓는다. 이 cap은 분자생물학 실험에 사용되는 일반 microfuge 튜브의 뚜껑과 똑같이 생겼으나, 다만 그 아래 부분에 thermoplastic transfer film이 얇게 입혀 있어서, 세포를 오려내고자 하는 조직 부위에 cap을 얹고 cap 위로부터 laser를 쪼이게 되면 laser에 의해 이 transfer film만이 녹아내려 원하는 세포와 붙게 된다. 따라서 현미경으로 보면서 원하는 세포만을 laser로 쪼이게 되면 cap에는 원하는 세포만이 붙게 되고 cap을 들어올리면 주위의 나머지 조직은 그대로 슬라이드 위에 남고, 원하는 세포만 cap에 붙어 떨어져 나오게 됨으로써 목표하는 세포만을 순수하게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 cap은 일반 실험용 튜브에 꼭 맞게 되어있어서 튜브 안에 DNA, RNA 또는 단백질 등 연구하고자 하는 물질을 용해하는데 필요한 buffer를 넣고 cap을 덮은 후 튜브를 뒤집어서 배양하는 동안 원하는 세포로부터 원하는 물질을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g. 1 참조).
활용 #
레이저를 이용한 microdissection 과정은 수집 시료에서 추출하고자하는 부위 외의 주변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LCM은 DNA, RNA 및 단백질 분석을 위해 선택된 세포를 순수하게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LCM은 또한 아밀로이드 플라크 (aryloid plaques)와 같은 무 세포 구조를 분리 하는데도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 도말, cytologic preparations, 세포 배양 및 고체 조직의 할당량을 포함하여 다양한 조직 샘플에서 수행 할 수 있고 냉동 및 paraffin 조직도 사용가능하다.
참고 #
wikipedia
https://www.thermofisher.com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의 원리와 응용 (포천중문의대 이경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