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patitis B Virus
#
Find similar titles
- (rev. 3)
- Kevin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B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란? #
B형간염은 간염의 하나로, B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에 의해 발병되는 전염성 질병이다.
전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간경변이나 간세포암과 같은 만성 간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보건 문제이며, 우리나라 또한 간세포암의 약 70%가 B형간염과 연관이 있으며, B형간염으로 인한 간세포암 발생률이 매우 높다.
감염 경로 #
B형간염 바이러스는 주산기 감염, 오염된 혈액이나 체액에 의한 피부 및 점막을 통한 감염(수혈, 오염된 주사기에 찔리는 것, 혈액 투석, 침습적 검사나 시술 등), 성 접촉 등이며, 유치원, 학교, 기숙사 등에서의 일상생활로 감염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러한 모든 형태의 감염은 B형간염 백신 접종을 통해 이미 면역을 획득한 상태이면 문제가 되지 않으며, 현재 국내 영유아의 B형간염 백신 접종률은 95% 이상이므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경로는 주산기 감염이며, 만성 감염이 되는 경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임상 양상 #
잠복기 : 60~150일(평균 90일)
비특이적 증상 : 피로감, 식욕부진, 구토, 우상복부 통증, 두통, 근육통, 피부발진 등
황달
증상 발현 비율 : 5세 미만 < 10%, 5세 이상 30~50%
합병증 : 전격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 간세포암
진단 #
- 임상 및 역학 양상, 검사실 결과로 진단하며, B형간염은 임상증상만으로는 감별이 불가능 하므로 확진을 위해서는 혈청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 B형간염 표지자를 검출하는 혈청학적 검사법으로는 화학발광면역측정법(Chemiluminescent Immunoassay, CLIA), 효소면역측정법(Enzyme Immunoassay, EIA),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RIA), 응집법(Particle Immunoassay)등이 있다.
치료제 #
- 바이러스로 인한 간 손상을 저하 치료제
- 인터페론-알파 (Intron A)
- 페그인터페론 (Pegasys)
- 라미부딘 에피비어-HBV (Zeffix 또는 Heptodin)
- 아데포비어 디피복실 (Hepsera)
- 엔터카비르 (Baraclude)
- Telbivudine (Tyzeka)
- Tenofovir (Vi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