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Extremophiles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극한미생물(Extremophile) #

극한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미생물과는 달리 대부분의 생명체에게 있어서 도전적이며 극단적인 조건의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영양분이 전혀 없다고 판단되는 환경, 온천수, 화산 및 열수구 등의 고온 환경, 남극 및 북극 대륙과 같은 낮은 온도의 조건, 염 농도가 높은 염호수, pH가 극단적으로 산성이거나 염기성으로 편재된 장소를 들 수 있습니다.

극한환경 미생물의 분류 #

환경요인 종류 정의 대표 미생물
온도 (Temperature) Hyperthermophile
Thermophile
Psychrophile
80도 이상에서 성장
60-80도에서 성장
15도 이하에서 성장
Pyrolobus fumarii (113도)
Synechococcus lividis
Psychrobacter spp.
방사선 (Radiation) - - Deinococcus radiodurans
압력 (Pressure) Barophile Pressure-loving Shewanella benthica
Thermococcus barophilus
염도 (Salinity) Halophile Salt-loving(2-5 M NaCl) Halobacteriaceae
산도 (pH) Alkaliphile
Acidophile
pH 9 이상에서 성장
pH 1-2 에서 성장
Bacillus halodurans
alga Dunaliella acidophila
산소 (Oxygen) Anaerobe 산소 존재에서 성장할 수 없음 Strict anaerobes
Chemicals - 높은 화학물질 농도에서 성장 Ferroplasma acidarmanus
Ralstonia spp.

극한환경 미생물의 종류 #

  • 고온/초고온성 미생물(thermophile/hyperthermophile)
    고온에서 서식하는 미생물로서 보통 60°C 이상의 온도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을 뜻합니다. 초고온성 미생물의 최적 생장 온도는 80°C 이상입니다. 초고온성 균은 옐로스톤 국립공원(Yellowstone National Park)의 고온 호수에서 Thomas D. Brock에 의해 최초로 분리, 보고되었습니다. 고균의 한 종인 Geogemma barossii strain 121의 경우 121°C에서 생장할 수 있고, 122°C에서도 생장할 수 있는 초고온성 메탄 생성 고균도 알려져 있습니다.

  • 저온성 미생물(psychrophile)
    -20~+10°C 범위의 차가운 온도에서도 최적으로 생장하는 미생물입니다. 세균을 포함해서 진핵생물 중 이끼(lichen), 눈 조류(snow algae), 균류(fungi) 등 다양한 저온성 미생물들이 존재합니다.

  • 호산성 미생물(acidophile)
    산성의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입니다. 일반적으로 pH 2이하의 산성 환경에서 서식합니다. 대부분의 호산성 미생물들은 세포질을 중성 또는 중성에 가까운 pH로 유지하기 위해 세포 내에서 양성자(수소이온) 배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 호알칼리성 미생물(alkaliphile)
    염기성의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입니다. 일반적으로 pH 8.5 이상의 염기성 환경에서 서식합니다. 호염기성 미생물들은 수동적 또는 능동적 방법으로 세포질의 산성을 유지합니다. 수동적 산성화를 위해 세포벽에 여러 종류의 산 잔류물로 구성된 중합체를 구성하고, 능동적 산성화를 위해 Na+/H+ 역수송체를 이용합니다.

  • 호염성 미생물(halophile)
    높은 염분 농도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입니다. 생장에 0.3M 이상의 염농도를 필요로 합니다. 대부분은 고균에 속하지만 미세 조류인 Dunaliella salina 같은 고균이 아닌 미생물들도 호염성인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호염성 미생물은 고염분의 환경인 바다, 염전, 호수 등에 서식하고, 빛으로부터 세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붉은색을 띱니다. 세포 밖의 높은 염분 농도에 의한 세포 손상을 막기 위해 세포 내에 K+ 등의 화합성 용질(compatible solute)을 축적하여 삼투압에 대응합니다.

  • 호삼투압성 미생물(osmophile)
    고당, 고염 환경 등의 높은 삼투압에 적응한 미생물입니다. 호삼투압성 미생물은 호염성 미생물과 같이 낮은 수분활성(water activity) 환경에서 생장합니다.

  • 건조내성 미생물(xerophile)
    수분활성이 0.8 이하의 건조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입니다. 수분활성을 감소시키는 음식 보전방법으로도 건조내성 미생물을 생장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종종 식품 부패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 고압성 미생물(piezophile or barophile)
    깊은 바다 등에 서식하는 세균나 고균과 같이 높은 압력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입니다. 고압성 미생물의 경우 높은 지방산 비율의 세포막을 가지고 있어서 고압에서도 막의 기능을 유지합니다.

  • 혐기성 미생물(anaerobe)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입니다. 이 미생물들은 대사과정에서 혐기적 호흡, 또는 발효에 의해 산소 없이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kormb.or.kr/home/kor/bioin/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4898&cid=61232&categoryId=61232 미생물학백과

Suggested Pages #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