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Enterococcus VRE infection #

Find similar titles

5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jmkang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은 1986년 처음 보고되었는데,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MRSA)와 함께 병원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이며 치료가 어려운 감염관리의 주요 대상 세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1992년 처음 보고된 이후 급증하여 2005년-2006년도의 경우 2.3차 병원에서는 엔테로코쿠스 페슘의 20~30%가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다

몸에 침입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감염을 일으킨다면 요로감염이 가장 흔하다. 요로의 구조에 이상이 있거나 요로에 의료기구를 삽입했던 환자에게 주로 감염을 일으킨다. 요로나 복강 또는 간담도 쪽을 수술한 후에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균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복부 수술 후에는 창상감염이나 복강 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그 외에도 심내막염, 호흡기 감염, 뇌수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원인 #

예전에 반코마이신을 투여받은 적이 있거나 다른 항생제라도 오랫동안 사용한 사람은 이 균에 감염될 수 있다. 또한, 병원에 입원하여 장기간 항생제 치료를 받을 때에도 감염 기회는 높아진다. 면역력이 많이 억제된 환자들과 수술 후 환자들도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감염되기 쉽다.

증상 #

균이 감염증을 일으키지 않을 때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에 의한 감염증의 증상은 감염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만약 상처에 걸렸다면, 감염부위는 일반 항생제 치료로 잘 낫지 않고 발적과 통증이 나타난다. 요로감염이 생긴 경우에는 소변을 눌 때 등이 뻐근하게 아프고, 작열감을 느끼게 된다. 또는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외 설사를 하거나 몸살을 앓거나 열이 오를 수도 있다

치료/경과/합병증 #

일반적으로 감염증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몸에 존재하는 균에 대해서는 치료하지 않아도 된다. 균이 감염증을 일으켰다면 반코마이신이 아닌 다른 항생제로 치료하게 된다. 검사실 검사를 통해 균이 내성이 있지 않고, 감수성을 보이는 항생제를 찾아 치료에 사용할 항생제를 선택한다. VRE에 의한 심각한 전신 감염에는 반코마이신이나 테이콜플라닌에 내성이므로 이들 약제는 쓸 수 없고,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이나 리네졸리드 등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균에 의한 감염증이 있는 환자가 소변 줄이나 정맥관을 하고 있다면 제거하는 것이 좋다. VRE는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으면 치유된다. 그러나 패혈증이 심할 때는 사망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흔치 않으며, 대개는 전신상태와 면역체계가 매우 나빠져 있는 환자에게서 매우 드물게 일어난다.

예방방법 #

VRE의 반코마이신 내성에 관계된 유전자(vanA, vanB)는 반코마이신 내성이 아닌 다른 장알균 균주나 다른 세균(예컨대 황색포도알균)으로 전파될 수 있으므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은 감염관리가 필요하다. 장알균은 정상적으로도 회음부나 장내에 서식하므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환자나 보균자는 배뇨, 배변 시 주변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격리가 필요하다. 손 씻기 지침을 제대로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환자를 진료할 때는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진료 전후에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을 씻어야 한다. VRE 환자가 퇴원할 때는 입원실, 사용기구 등을 철저히 청소하고 소독하여야 한다. 암 병동이나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반코마이신, 테이코플라닌 등 글리코펩티드 계열 항생제를 사용할 때 VRE 보균자가 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병동에 VRE 감염환자가 많아지거나 유행이 있으면 보균자까지 찾아서 격리하는 등 적극적인 조처를 해야 한다.

격리해제는 대개 1주 간격으로 실시한 대변 또는 직장 도말 감시 배양에서 3회 연속 음성이 나오면 가능하다. 3세대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이나 반코마이신 등의 항생제를 사용하면 VRE 보균자가 될 위험이 크다고 알려졌으므로, 병원에서 이들 항생제는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

  • VRE(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Suggested Pages #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