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healthcare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Business
Table of Contents
디지털 헬스케어 정의 #
-
디지털 헬스케어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기존 보건의료 산업과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새로운 분야다. 이해관계당사자는 의사, 병원, 환자로 구성되며, 정보통신기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모두 걸쳐있다. 스마트폰 보급률의 증가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
GDP 대비 개인별 의료 지출 비율(18%)과 지출액 모두 OECD국 중 독보적인 1위인 미국에서 특히 비용 절감 측면의 많은 연구와 정책, 제품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약 $300 billion을 아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이 중 약 $200 billion이 만성질환(심장질환, 당뇨병, 천식 등)에 해당하며, 대부분 실시간 상태감시가 중요한 원격 진료(Healthcare IoT 분야)로 문제해결 가능하다.
-
환자 입장과 병원 입장에서 디지털 헬스케어의 효용을 바라보는 시선은 다르다. 환자는 의료진과 병원을 쉽게 찾고 연결할 수 있는 의료 접근성에서 단기 효용을 느끼며 활동량 트래커의 단순한 모니터링과 기록 기능만으로는 지속적인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실제로 구입 기간이 지날수록 활동량 트래커를 사용하는 비율은 점점 감소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행동 습관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성공적인 제품/서비스를 결정한다.
-
병원 입장에서는 실제 매출이 증가하거나 비용이 절감되는 효용을 기대할 수 있다. 원격진료의 경우 실제 teledoc이라는 웹서비스를 통해 은퇴한 의사나 비는 시간을 활용한 새로운 수입을 확보하게 했다. 병원 입장의 비용 절감으로는 IBM 왓슨과 같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임상의사지원시스템이나 적절한 치료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여전히 비즈니스 모델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예방의학 관점에서의 제품과 서비스 분류 #
- 1차 예방: 활동량 트래킹, 칼로리 측정, 체중 감량, 생활습관 교정, 운동 관리 등
- 2차: 질병의 조기진단 ex) 바이오마커
- 3차: 질병을 잘 치료 ex) 수술, 신약
관련회사(국내) #
- SK케이칼
- 유비케어
- 녹십자헬스케어
- 모바일닥터
- 아이센스
- 라이프시멘틱스
- 직토
- BBB
- 뷰노
- 클디
- Ybrain
- 엠트리케어
- 인피니트헬스케어
- 이지케어텍
- 비트컴퓨터
- 헬스커넥트
- 후헬스케어
- 에스코넥
디지털 헬스케어 최신 동향 (2021) #
- 텔레헬스 (Telehealth)
-
텔레헬스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을 활용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술을 의미
-
사물인터넷(IOT)
-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s) 수요가 증가하면서, Medical IoT 분야가 빠르게 성장
-
인공지능,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흡입기(Smart Inhalers)와 같은 기존의 의료 장비 사용성 개선
-
직원 건강 앱 수요 증가
- 2020년부터 건강 관련 앱 다운로드 수 증가로, 건강 앱(wellness app) 시장이 증가
-
미국 기업 고용주들은 건강 앱을 직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직원들의 직업 만족도 향상.
-
감염병 관리의 지속적인 혁신
-
COVID-19 대유행 이후로 많은 국가에서 바이러스 테스트, 추적, 모니터링을 관련 앱 출시 경쟁이 있었다.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 과거에는 VR (virtual reality) 이용이 비디오 게임에 국한되었으나, 현재 많은 실용적인 용도로 이용한다.
- 내년 혹은 그 이후에는 의료 분야에서 많은 VR 앱 출시 예상.
- 헬스케어 분야에서 VR은 수술 연습 (Surgical training) 및 만성통증 및 정신질환을 돕는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