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betes mellitus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당뇨. DM이라고도 한다. 혈액내 포도당 수치를 조절하는 Insulin 수치가 낮아짐으로 인해 혈당이 높아지고, 이 상태가 계속되면 혈액이 끈적끈적해지면서 각종 병원균에 감염되기 쉬워지며(썩는다) 혈액이 통과하는 신체내 각 조직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망막에 끼치는 영향으로 인해 Diabetic retinopathy가 발병하며, 실명할 수 도 있다.
원인
- 제1형 당뇨 : 선천적 요인 또는 Virus, 췌장의 베타세포 파괴로 인하여 Insulin의 분비가 되지 않음. 일종의 AutoImmuneDisease.
- 제2형 당뇨 : 영양불균형(인스턴스식품, 과도한 육류, 섬유질부족), 스트레스, 체내 유해독소 축적, 운동부족. Insulin Resistance.
- 임신당뇨: 당뇨병의 병력이 없는 임신한 여성에 고혈당으로 발전하는 경우에 발병
Target proteins for the treament of Diabetes
- PTP1B inhibitor
- PPARα/γ Dual agonist
- DPP-IV inhibitor
- GLP-1(Glucagon-like peptide-1)
진단
당뇨병은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고혈당이 특징이며, 다음 경우 중 한 가지에 해당되는지를 보고 진단한다.
- 공복시 혈장 혈당치 ≥ 7.0 mmol/l (126 mg/dl)
- 당부하검사에서와 같이 75 g의 경구 포도당 섭취 2시간 후에 혈장 혈당치 ≥ 11.1 mmol/l (200 mg/dl)
- 고혈당 증상과 함께 평상시 혈장 혈당 ≥ 11.1 mmol/l (200 mg/dl)
- 당화혈색소 (HbA1C) ≥ 48 mmol/mol :≥ 6.5 DCCT(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44]
당뇨 관리
관련기사
- 혈압 상승하면 당뇨병 발생율 높아진다 : Hypertension이 당뇨병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라는 사실 규명
- 당뇨원인 단백질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