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hromosome #

Find similar titles

2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Daekuen Nam
  • 최근 업데이트
    Hana Song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Chromosome, 염색체 #

유전체 서열과 염색체의 다양성 #

염색체의 구조를 자세히 논하기에 앞서, 염색체 구조의 기본을 형성하는 DNA분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의 다양한 생물에 대한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는 염색체 DNA와 구성과 관련된 많은 정보와 생물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염색체 DNA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염색체는 원형 혹은 선형일 수 있다. #

원핵세포는 하나의 원형 염색체를 가지고 진핵생물 세포는 여러 개의 선형 염색체를 가진다. 그러나 더 많은 원핵생물들이 연구되면서, 이러한 견해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었다. 비록 연구된 대부분의 원핵생물(E. coli와 B. subtilis)은 실제로 하나의 원형 염색체를 가지지만, 여러 개의 염색체나 선형의 염색체, 또는 두 가지 특성을 모두 지닌 염색체를 가진 원핵세포의 예가 많이 알려졌다. 반면, 모든 진핵생물의 세포는 여러 개의 선형 염색체를 가진다.
원형의 염색체는 그들이 복제된 후에 딸 분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위상이성질화효소(topoisomerase)가 필요하다. 반면에 선형의 진핵생물 염색체의 DNA 말단은 이것을 분해하는 효소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며, DNA 복제 동안에 다른 종류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모든 세포는 특정수의 염색체를 가진다. #

전형적인 원핵세포는 핵양체(nucleoid)라 불리는 구조로 함축된 하나의 완전한 염색체를 가진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원핵세포가 빠르게 분열될 때 일부 염색체 부위는 복제과정에 있어서 2개 혹은 4개의 사본이 존재하게 된다. 원핵생물은 또한 흔히 플라스미드(plasmid)라 불리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작고 독립적인 원형의 DNA를 가진다.
대부분의 진핵세포는 이배체(diploid)로서, 각 염색체의 사본을 2개씩 가지고 있다. 주어진 염색체의 두 복사체를 상동체(homolog)라고 하며, 이들 각각은 각각의 어버이로부터 유래된다. 그러나 모든 진핵세포가 이배체는 아니다. 일부는 반수체이거나 배수체이다. 반수체(haploid)세포는 각 염색체의 사본 하나만을 가지고 있으며, 유성생식(sexual reproduction)을 한다.(정자, 난자). 배수체(polyploid)세포는 각 염색체에 대해 두 개 이상의 사본을 가진다.(거핵세포(megakaryocyte))

Incoming Links #

Related Bioinformaticses #

Suggested Pages #

0.0.1_20231010_1_v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