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mera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Table of Contents
Chimera (키메라) #
정의 #
동일개체에 유전자가 다른 세포가 혼재하고 있거나(세포 키메라) 동일 유전자에 두 종류 이상의 유전자에서 유래한 DNA단편이 결합하고 있는(분자 키메라) 현상
어원 #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머리는 사자, 몸은 양, 꼬리는 뱀을 닮은 전설의 괴수에서 유래된 말이며 같은 현상을 모자이크라고 부르기도 함
응용 #
-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접목으로 밀감 등 여러 종의 과수나 채소의 재배에 이용됨
- 과거에는 콜히친(colchicine)처리로 염색체를 배가시킨 세포의 부분을 만들거나(염색체 키메라), 암수의 수정란을 접착한 후 자궁에 되돌려 암컷(female)과 수컷(male)의 염색체를 갖는 세포가 존재하는 개체(성 키메라)를 얻음
- 주로 염색체 수의 차 등을 표식자(marker)로 하여 세포의 분화, 발생이나 질환의 메커니즘의 해명을 위하여 연구되고 있음
키메라 연구 #
- 1961년에 타코우스키(Tarkowski) 등은 수정란을 보호하고 있는 투명대를 파괴하고 검은털과 흰털 마우스의 수정란을 접착, 최초로 흑백 얼룩 마우스를 만드는데 성공함
- 이미 쥐 등에서는 키메라가 쉽게 만들어지고 1983년에는 전반신이 염소이고 후반신이 양인 키메라도 보고됨
- 최근 생물공학의 발달로 분자 수준의 키메라도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은 새로운 단백질의 유도체를 만들어내려는 의도 --> 이미 14종 이상의 아형(subtype)이 있는 α-인터페론(interferon)의 아형(sub- type)을 결합한 키메라 인터페론(chimeric interferon)이 Genentech회사, Hoffmann-La Roche회사 등에 의하여 개발됨
- 어떤 종의 키메라 인터페론(chimeric interferon)은 활성이 높고 종특이성의 폭도 넓어졌으며 키메라 항체(chimeric antibody) 연구도 진행 중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