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ardiac marker #

Find similar titles

1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twkang
  • 최근 업데이트
    twkang

심장마커(Cardiac marker) #

심장마커란? #

Cardiac marker는 심장의 기능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로써,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c infrarction)을 비롯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ACS)의 진단과 예후판정에 중요한 검사로 알려져 있다. 초기 마커의 대부분은 효소였기 때문에 cardiac enzyme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모든 마커는 효소가 아니며, 현재 각광을 받고 있는 troponin의 경우에는 cardiac enzyme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심장질환 #

심장 관련 중요한 질환은 관상동맥심질환(coronary heart disease, CHD)이며, 관상동맥 혈류가 급성으로 막히는 상태를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ACS)라고 한다. 관상동맥은 죽상경화증(atherosclelosis)의 과정에 매우 취약하여 이 과정에서 만성적으로 혈관 내피에 손상이 가해지고 혈관을 막는 플라그가 생성되어 혈전 생성을 자극하게 된다. 이 혈전에 의한 관상동맥의 혈류가 막히면 그 혈류의 공급을 받는 심근에 비가역적인 허혈성 손상이 초래되는데 허혈성 심질환의 가장 심각한 형태를 급성심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이라 한다. 혈관의 막힘이 불완전할 때는 환자가 안정시에도 심한 통증을 겪게되는 상태인 불안정협심증(unstable angina, UA)을 가져올 수 있다.

심장 마커의 종류 #

  • Troponin test: 심근 손상에 대한 가장 민감하고 구체적인 검사로써, CK-MB와 비교하여 특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troponin은 심근 손상의 우수한 표지자임
  • Creatine Kinase (CK-MB) test: 골격근 손상이 없을 때 상대적으로 특이도가 높음
  • Lactate dehydrogenase (LDH): Troponin 만큼 특이도가 높지 않음
  • Myoglobin (Mb): 심근 경색에 대한 특이도 낮음
  • Ischemia-modified albumin (IMA): 특이도 낮음

참고 #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