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KAN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Management
Big Data

CKAN(Comprehensive Knowledge Archive Network) #

개요 #

CKAN(Comprehensive Knowledge Archive Network, 이하 CKAN)은 비영리 단체인 OKI(Open Knowledge International) 산하 Open Knowledge Labs에서 개발한 공공데이터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하둡(Hadoop)’으로 대표되는 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술과 별도로, 공공데이터를 포함한 공개데이터(OpenData)의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생산자, 생산기관에서 웹 상에서 단순하게, 빠르게 공개 하는 것을 돕기위해서 만든 데이터 포털 플랫폼이다.

현재 영국 정부의 공공데이터 플랫폼으로 채택된 이래 미국, 캐나다, 호주, 스위스 등의 정부 공공데이터 플랫폼으로 채택되면서 오픈데이터 관리 플랫폼 분야의 ‘하둡’으로서의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다수의 국가 및 국제 정부 포털 및 다양한 데이터 포털에서 사용되고 있다.

주요기능 #

CKAN은 데이터의 배포, 저장, 시각화, 연계, 검색 및 활용, 기능 확장, 보안 및 인증, 이력 및 사용 통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주요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CKAN 주요기능 설명
배포 데이터셋을 쉽게 배포하고 데이터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메타 데이터의 저장과 업데이트가 용이
저장 데이터스토어(DataStore), 파일 스토어(FileStore), Linked 데이터와 RDF, 카달로그를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
시각화 미리보기(리소스뷰)와 시각화, 사용자 테마 등을 이용한 기본적인 시각화 기능을 지원
연계 API연계, 데이터 통합(federation), 메타데이터 연계를 통한 연계 기능을 제공
검색 및 활용 오픈 소스 검색 도구인 Solr를 이용한 메타데이터 검색 및 활용 기능 제공
기능 확장 파이썬(Python) 패키지 형태로 기능 확장(extension) 개발이 가능하여 추가 기능 개발 가능
보안 및 인증 확장 기능(Extension)을 통한 데이터 보안 및 사용자 인증 지원
이력 및 사용 통계 사용자 활동 이력 및 데이터셋에 대한 사용 통계 정보 제공
커뮤니케이션 커뮤니티 기능 및 소셜 기능

데이터를 올리거나,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시하는 기능이 타 플랫폼 대비 편리하 게 수행이 가능하며,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 메타데이터의 관리가 편리하다는 이점과 상호 연관되는 테이블, 그래프, 맵을 통해 사용자에게 익숙한 형태의 미리보기를 제공하고 있다.

Image <출처 : https://ckan.org/>

CKAN의 경우 또 다른 CKAN 네트워크와 연합이 가능하여 사용자 참여가 쉬운 기능과 커뮤니티를 통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확장기능(extension)을 통해, 커스터마이징 및 확장성에 있어서도 CKAN은 뛰어난 기능을 제공하며, API 제공 또는 오픈소스 라이선스 정책을 통한 무료 다운로드 및 실행이 가능하다. GitHub를 통해서 배포되고 있으며 다수의 오픈소스 개발자들과 함께 완성도 높은 데이터 포털 구성이 가능하다.

Image <출처 : https://ckan.org/>

또한, 데이터 연계 관점에서 CKAN 기능을 보면, 데이터 공급자 측면의 조직 생성관리, 데이터셋과 리소스 추가, 삭제, 편집 등 관리 기능과 데이터 수요자 측면의 검색 및 탐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CKAN의 장점 #

CKAN과 타 데이터 연계 플랫폼과 비교를 하면 데이터 관리, 운영, 라이센싱 등 데 이터 연계 유통에서 타 플랫폼 대비 우수

* 타 플랫폼 대비 데이터 연계 활성화에 대한 강점을 가짐
* 분석 및 시각화의 경우 Extension 및 Drupal과 같은 타 오픈소스 플랫폼과 결합을 통한 시각화 기능 강화 가능
* 다양한 목적에 따른 Plug-in 기능(Extension) 등을 통해 분석 기능 보완 가능

CKAN은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으면서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연계·검색·활용이 가능하여 데이터 연계 활용 플랫폼으로서의 가장 중요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CKAN의 기술 발전 동향 #

CKAN의 버전별 역사를 살펴보면 CKAN은 2004년 설립된 비영리 기관인 Open Knowledge의 주최로 2006년에 개발을 시작해 2007년에 첫 공식 배포판을 선보임

* 개인보다는 기관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세계의 중앙정부, 지방정부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하여 2010년에 영국 정부에 의해 http://data.gov.uk에 도입되면서 CKAN 개발이 급성장

연구 데이터 관리(RDM)를 위해 CKAN을 적용했던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1.7 버전에서는 공공데이터의 publish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security model 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단순한 구조로 되어있었으나, 2013년도 5월에 출시된 2.0에서부터는 다양한 특징들이 추가되었다.

* 인증(authorization) 부분은 개인으로 등록하던 시스템에서 기관(organization)의 도입으로 데이터셋에 대해 기관별로 권한(permission)을 지정 가능

확장 기능인 CKAN Extension을 통해,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table 형태, 그래프, 타임라인, 지도상에 미리보기가 가능하며, v2.0부터는 회사(ArcGIS 등) 및 서비스에서 만든 각종 Extension을 통해 다양한 파일형식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이 확장되었다.

CKAN 2.0부터 JSON기반의 API를 통해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RESTful API를 지원하며, DataStore와 FileStore 모두 CRUD(쓰기, 읽기, 수정, 삭제)가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API를 제공하며 필요 시 인증 요청이 가능해졌으며, 웹UI가 완전하게 새 디자인으로 바뀌면서 사용성 측면이 크게 개선 되었다.

* 강력한 API 지원으로 다른 기관 시스템과 사용자들의 데이터 저장, 쿼리 및 활용이 가능

CKAN 활용 사례 #

공공데이터 개방 포털 #

2011년도 7월 오픈한 공공데이터 개방 포털(data.go.kr)은 자체 플랫폼으로 개발되 었으며 CKAN 카탈로그를 활용중

Image <출처 : https://www.data.go.kr/>

서울시 정보 소통광장 #

“열린 시정 2.0”(Nude Project)를 바탕으로 CKAN 및 drupal과 전자정부프레임워크(eGov Framework)를 활용하여 플랫폼을 구축

Image <출처 : https://opengov.seoul.go.kr/>

참고문헌 #

  1. CKAN
  2. CKAN을 활용한 민간데이터 연계 활성화 방안 연구 결과 보고서, 한국데이터진흥원, 2017
  3.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4. CKAN을 이용한 공간정보개방 사례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