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Bisphenol A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Bisphenol A(BPA)는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과 통조림 내부 코딩 등의 원료 중 하나로 C15H16O2 화학식을 가지는 물질이다. 다수의 세정제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카반은 BPA의 흡수를 크게 촉진시킨다고 한다. BPA는 발암, 성인병, 성기능 장애 등 다양한 인체 유해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체내에 노출되는 빈도를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다.

(추가) # BPA 노출 BPA는 식품 캔과 플라스틱을 가열하였을 때 용출되며 실제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라 할 수 있다. 생활용품 뿐만아니라, 산업폐수와 도시폐수 등에 의한 수질오염을 야기하며, 인간의 건강과 수중생물에 심각한 위해를 초래하고 있다.

BPA 유해 메카니즘 #

BPA는 phenolic 구조에 의해 세포내에서 Estrogen receptor (ER) dependent signalling pathway를 통한 agonist 혹은 antagonist로써 역할을 한다. 이러한 BPA의 생체반응 특성 때문에 endocrine disorder의 주요 pathogen 역할을 한다. 특히, BPA는 hormone에 dependant한 암종인 유방암과 전립선암 형성을 유도하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암 뿐만 아니라, 다양한 metabolic disorder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에 BPA 노출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노출군이 성조숙증(precocious puberty)을 더 많이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Reference #

  • https://en.wikipedia.org/wiki/Bisphenol_A
  • Diamanti-Kandarakis E., Bourguignon J.P., Giudice L.C., Hauser R., Prins G.S., Soto A.M., Zoeller R.T., Gore A.C.: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an Endocrine Society scientific statement. Endocr Rev. 2009; 30(4):293-342.
  • Honma S., Suzuki A., Buchanan D.L., Katsu Y., Watanabe H., Iguchi T.: Low dose effect of in utero exposure to bisphenol A and diethylstilbestrol on female mouse reproduction. Reprod Toxicol. 2002; 16(2):117-122.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