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Barcode gap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Analysis

Barcode gene #

종의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하여 특정 유전자를 이용한 방법이 널리 사용 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전자를 바코드 유전자라 한다. 이러한 바코드 유전자를 이용한 분석은 Phylogenetic tree와 Population analysis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분석의 질을 높일 수 있다.

  1. Barcode analysis의 장점

Image

Barcode gap #

이러한 Barcode gene의 평가는 종간, 종내 Distance를 통해 평가할 수 있으며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여 이해가 가능하다.

Image

  1. 붉은 바는 종내 유전변이의 최대 Distance를 나태난 것이며 푸른 바는 종간 변이의 최소 Distance를 나타낸 것이다.
  2. 즉, X축은 Distance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분포를 구하게 된다면 확률적으로 이들의 구분이 얼마만큼 가능한지를 판별할 수 있다.

참고 #

  1. Hajibabaei, Mehrdad, et al. "DNA barcoding: how it complements taxonomy, molecular phylogenetics and population genetics." TRENDS in Genetics 23.4 (2007): 167-172.
  2. Chen, Shilin, et al. "Validation of the ITS2 region as a novel DNA barcode for identifying medicinal plant species." PloS one 5.1 (2010): e8613.
  3. Kim, Sungmin, et al. "A DNA barcode library for Korean Chironomidae (Insecta: Diptera) and indexes for defining barcode gap." Molecules and cells 33.1 (2012): 9-17.
  4. 해양생물 유전자 바코드 연구 보고서 (2012),용역과제번호 20111250400-00, 국토해양부.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