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Angular 구조 #

Find similar titles

9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이크스
  • 최근 업데이트
    cloudgo

Angular는 HTML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프레임워크이며, JavaScript를 직접 사용하거나 TypeScript와 같이 JavaScript로 컴파일 되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Angular 프레임워크는 수많은 라이브러리들로 구성이 되는데, 이 중 일부는 코어 모듈이며, 일부는 옵션모듈이다.

Angular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Angular 스타일의 마크업을 사용하여 템플릿을 만들거나, 이 템플릿을 관리하는 컴포넌트 클래스를 작성하기도 하고, 서비스에 어플리케이션 공통 로직을 작성할 수 있고, 컴포넌트와 서비스들을 묶어서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루트 모듈을 부트스트랩하는 것으로 앱이 실행 된다. Angular는 개발자가 지정한 동작에 따라서 브라우저에 내용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할 것이다.

구조 #

Image

위의 다이어그램은 Angular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8개의 중요한 영역이다.

  • 모듈
  • 컴포넌트
  • 템플릿
  • 메타데이터
  • 데이터바인딩
  • 디렉티브
  • 서비스
  • 의존성주입

모듈 #

  • Angular 앱은 그자체로 모듈이고, Angular 모듈이나 NgModule이라고 하는 독자적인 모듈구조를 사용한다.
  • Angular 모듈은 복잡한 영역이다.
  • 모든 Angular 앱은 반드시 루트 모듈이라는 Anuglar 모듈 클래스를 가지며, 편의상 AppModule이라고 부른다.
  • 어플리케이션이 작은 경우 루트모듈이 유일한 모듈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앱들은 어플리케이션 도메인, 동작흐름, 연관성등을 고려하여 좀 더 많은 개수의 모듈을 갖는다.
  • 루트 모듈이든 일반 모듈이든, Angular 모듈은 @NgModule 데코레이터가 붙는 클래스로 선언된다.

    데코레이터는 JavaScript클래스를 변형하는 합수다. Angular는 클래스가 어떤 특징을 가지며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데코레이터를 여러개 구현해두고 있다. [참고 : https://medium.com/google-developers/exploring-es7-decorators-76ecb65fb841]
    
  • NgModule도 모듈을 정의하는 데타데이터 객체 하나를 사용하는 데코레이터 함수다.

    • declarations = 이 모듈에서 사용하는 뷰 클래스를 정의한다. Angular에는 컴포넌트, 디렉티브, 파이프 세 종류의 뷰 클래스가 있다.
    • exports = 다른 모듈이나 컴포넌트 템플릿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외부로 공개선언한다.
    • import = export로 공개된 클래스를 다른 컴포넌트 템플릿의 this모듈에 선언해서 사용할 때 사용한다.
    • providers = 전역에서 사용되는 서비스를 해당 객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생성하고 지정한다. 프로바이더는 앱의 모든 곳에서 접근 할 수 있다.
    • bootstrap = 루트 컴포넌트라고 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뷰를 선언한다. bootstrap 항목은 루트 모듈에만 존재한다.

Image

위 코드의 AppComponent export는 사실 이 예제에서 필요없으며, 단순히 export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보여주기 위해 추가되었다. 루트 모듈은 외부의 어느 컴포넌트에서도 로드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외부로 공개할 필요가 없다.

Angular라이브러리 #

  • Angular는 수많은 JavaScript 라이브러리를 탑재하고 있다. 이라이브러리들이 각각의 모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Angular 라이브러리들은 @angular접두사로 시작한다.
  • Angular 라이브러리는 npm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해서 설치하고 JavaScript 문법인 import를 사용해서 불러올 수 있다.
  • 예를 들어 Angular의 @angular/core라이브러리에서 Component 데코레이터를 불러오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import { Component } from '@angular/core';
    
  • 라이브러리뿐만아니라 Angular 모듈을 불러오는 것도 import 구문을 사용한다.

    import { BrowserModule } from '@angular/platform-browser';
    
  • 위에 있는 루트 모듈 예제 코드를 보면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BrowserModule안에 있는 기능을 사용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NgModule 메타데이터에 imports항목을 아래와 같이 지정한다.

    imports : [BrowserModule],
    
  • 이 방식은 Angular 모듈 시스템과 JavaScript 모듈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다.

  • 두 모듈 시스템은 모두 'import'와 'exports' 키워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 모듈 시스템을 혼동하기 쉽다.

컴포넌트 #

  • 컴포넌트는 화면의 '뷰'라고 하는 부분을 제어한다.
  • 뷰에서 동작해야 하는 기능을 정의하는 컴포넌트의 어플리케이션 로직은 클래스 안에 정의할 수 있다. 클래스는 프로퍼티의 API와 함수들을 가지고 뷰와 상호작용 한다.
  • 예를 들어 HeroListComponent에는 서비스에서 영웅들의 배열을 받아 저장하는 heroes프로퍼티가 있다. 또, HeroListComponent에는 사용자가 목록에서 영웅을 선택했을 때 selectedHero프로퍼티의 값을 지정하는 selectHero()함수도 있다.

Image

  • Angular에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과정을 따라 가면서 컴포넌트를 만들고, 갱신하고 종료시킨다. 어플리케이션은 위 코드에서도 사용된 ngOnInit()과 같이 생명주기를 가로채는 함수를 이용하여 특정 시점에 원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템플릿 #

  • 컴포넌트의 뷰는 탬플릿으로 정의한다. 템플릿에서는 Angular가 컴포넌트를 HTML로 어떻게 렌더링할 지 모습을 정의한다.
  • 템플릿은 일반 HTML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몇 가지는 다르다. HeroListComponent의 템플릿은 아래와 같다.

Image

  • 이 템플릿에는 < h2 >와 < p >와 같이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HTML 엘리먼트들이 있지만 그 외에 다른 요소도 있다. * ngFor나 {{hero.name}},(click),[hero],< hero-detail >등과 같은 요소는 Angular 템플릿 문법이 사용되었다.
  • 위의 코드의 마지막 줄에서 사용된 < hero-detail> 태그는 HeroDetailComponent를 나타내는 커스텀 엘리먼트이다.
  • 이 HeroDetailComponent는 이전에 봤던 HeroListComponent와는 다른 컴포넌트이다. HeroDetailComponent에서는 HeroListComponent에서 표시하는 목록에서 사용자가 특정 영웅을 선택하면 그 영웅의 정보를 표시한다. HeroDetailComponent는 heroListComponent의 자식 컴포넌트라고 할 수 있다.
  • 일반적인 HTML 엘리먼트들 사이에 < hero-datil >가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것에 주목하자. 화면서도 커스텀 컴포넌트는 기본 HTML들과 함께 자연스럽게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

  • 메타데이터는 클래스가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 HeroListComponent의 코드를 다시 보면, 이 컴포넌트는 단순한 클래스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클래스는 프레임워크에서 만든 것도 아니고, Angular에서 제공하는 기능도 아니다.
  • 사실 HeroListComponent는 딱 클래스일 뿐이다. Angular에게 이 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전까지는 아직 컴포넌트라고 할 수 없다.
  • TypeScript에서는 클래스에 데코레이터를 사용하여 메타데이터를 덧붙일 수 있다.

Image

참고 사이트 #

Suggested Pages #

0.0.1_20231010_1_v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