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산업
#
Find similar titles
- (rev. 3)
- nangman07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6차산업 #
6차산업이란? #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농업과 식품, 특산품 제조가공(2차사업) 및 유통 판매, 문화, 체험, 관광, 서비스(3차산업) 등을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출처 www.6차산업.com>
6차산업의 의의 #
창의력 및 상상력과 과학기술, ICT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시장과 산업 육성으로 양질의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제 패러다임이다. 농업생산물에 창의력과 상상력을 더 하면 다양한 형태의 가공 상품(식품, 의약품, 건강식품, 생활용품 등)과 관광 체험 서비스 상품이 개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 생산적 복지를 실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는 곳이 청양의 알프스마을 등이 있으며 여름과 겨울에 각각 ‘여름철 세계 조롱박 축제’와 ‘겨울철 칠갑산 얼음분수 축제’등을 통해지역만의 흥미로운 볼거리, 즐길거리, 먹거리 등을 만들어 6차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6차산업의 종류 #
생산중심형 #
생산이 핵심이고 가공서비스는 부가사업인 형태이다. 2,3차 산업을 통한 생산부문 활성화가 중요하다.
대표사례 : 홍성 문당 친환경농업마을, 옥천 장수마을
가공중심형 #
소비자니즈를 반영한 가공상품 개발이 핵심인 형태이다. 인터넷 위탁판매 등 다양한 판로확보가 중요하다.
대표사례 : 군위찰옥수수, 장성 자뢰뫼 마을, 서산 회포마을
유통중심형 #
생산유통의 공간적 연계시스템의 구축이 핵심이다. 로컬푸드 직판장 등 매장 운영 역량이 중요하다.
대표사례 : 칠곡 농부장터, 은퇴농장사람들
관광체험형 #
생산가공과정에 소비자 참여가 핵심이다. 지역내 다양한 유무형 자원의 연계가 중요하다.
대표사례 : 순창 고추장마을, 용인 호박등불마을
외식중심형 #
생산, 가공, 외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식재료, 진정성, 맛의 스토리텔링 등이 중요한 전략이다.
대표사례 : 남원 달오름 마을, 서산 꽃송아리 마을
치유중심형 #
기능성 및 약용 농산물 재배 및 가치연계의 특징을 나타낸다. 원예, 심신치료 등 관련 전문성 강화가 중요하다.
대표사례 : 양양 달래촌 마을, 하동 하늘땅번지마을
6차산업과 스마트팜 #
농업의 첨단화가 중요한 6차산업의 경우 스마트팜과의 접목을 통해서 높은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다. 스마트팜 분야에서 선두주자는 미국, 일본, 네덜란드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후지쯔, NEC, NTT등의 대기업들이 농업분야에서 ICT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후지쯔의 농업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NEC의 M2M 기반 생육 환경 감시 및 물류서비스 등이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스마트 팜의 핵심은 농작물 생육환경과 관련된 빅 데이터의 구축이다. 즉, 전통 농수산업에 사물인터넷(IOT)이 얼마나 잘 접목시키는지가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관건이 될 것이다. 글로벌 시장도 2025년에는 1.94조 달러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