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류 인플루엔자 #

Find similar titles

28회 업데이트 됨.

Edit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

조류 인플루엔자(AI)란? #

닭ㆍ칠면조와 같은 가금류야생 조류가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 전염병으로, 조류 독감이라고도 하며, 주로 철새의 배설물에 의해 전파된다.

원인 #

원인체는 바이러스이며 병원성에 따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와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분류되며, 주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류와의 접촉으로 발생한다. 특히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류의 배설물은 감염의 주요 매개체이다.

증상 #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라 다양하며 호흡기 증상, 설사, 산란율의 급격한 감소, 벼슬 등 머리 부위에 청색증을 보이며, 폐사율은 0∼100%, 산란율은 40%~50% 저하 또는 산란 중지 등으로 다양하다.

분류 #

  • 인플루엔자 A
    • 야생 수생 조류가 여러 종류의 인플루엔자 A의 자연숙주 구실을 함
    • 종 간의 전염을 통해 큰 유행을 일으킬 가능성이 큼
    • 인간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
  • 인플루엔자 B
    • 거의 인간에게만 감수성이 있음
    • A형보다 변이율이 2~3배 낮으며, 단 하나의 아형만이 존재함
    • 다양성이 낮아 유행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음
  • 인플루엔자 C
    • 인간, 개, 돼지에게서 나타나는 인플루엔자
    • 가벼운 증상만을 보임

전파방법 #

  • 비말, 물 등에 의하여 전파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전파 방법은 분변의 직접적 접촉
  • 질병발생 종계에서 생산된 종란과 병아리의 이동으로 질병 전파

대처방법 #

  • 조류 인플루엔자 발병이 의심되면, 즉시 방역기관에 신고

2014년 유행과 국내대응상황 #

참고자료: 2014년 03월 31일 기준, 농림축산식품부)

최초발생지 #

2014년 1월 16일 전라북도 고창 종오리 농장

발생원인 #

  • 구체적인 AI 유입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현재까지는 가창 오리떼를 비롯한 철새의 분비물이 원인으로 지목
  • 중앙방역 당국에서는 철새 분비물의 유입시점을 2014년 1월 6∼7일쯤으로 추정

지원대책 #

  • 피해 농가에 대한 보상금 신속 지원
  • 경영안정대책 및 적절한 수급대책도 지속적으로 추진

방역추진상황 #

2014년 05월 12일 23:00 기준

  • 신고현황
    • 총 35건의 AI 의심신고 접수(양성 29건, 음성 6건)
    • 양성 29건 : 종오리(11), 육용오리(6), 종계(5), 산란계(5), 토종닭(1), 거위(1)
  • 매몰두수
    • (완료) 518농가 13,735천수
    • (계획) 없음

국내 AI 발생현황 #

발생년도 발생기간(일) 발생건수(건) 발생농가(호) 살처분마릿수(마리) 피해액(억원) 유입추정
2003~2004 102 19 392 528만5000 1531 야생조류
2006~2007 104 7 460 280만 582 야생조류
2008 42 33 1500 1020만4000 3070 야생조류
2010~2011 139 53 286 647만3000 822 야생조류

2014년도 피해 예상액

관련뉴스 #

국내 #

국외 #


육계 유통경로 #

유통경로

  • 닭유통경로

  • 계란

    계란유통경로

출처 : 축산유통종합정보센터, 2013 축산물 유통실태조사

Incoming Links #

Related Bioinformaticses #

Suggested Pages #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