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이미지 파일 포맷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Computer science

주요 이미지 파일 포맷 특징 비교 #

웹상에서 쓰이는 이미지 포맷 형식은 다양하다. 그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포맷인 BMP, GIF, JPG, PNG, TIF, PSD의 특징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주요 이미지 파일 특징 요약 #

포맷 압축률 특징 단점
BMP 무압축 압축하지 않는 저장 방식으로 원본 이미지의 보존률이 높음 압축하지 않기 때문에 용량이 큼
GIF 이미지 손실이 적으면서 높은 압축률 / 애니메이션(다중 프레임) 저장가능 최대 해상도 65,536 x 65,536 에 256 컬러라는 제한이 있음
JPG 높은 압축률로 용량이 작아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됨 / 저장 시 품질(압축률)을 설정 가능 손실 압축방식로 압축률을 높일수록 이미지 손상 증가
PNG JPG에 비해 적은 손실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률 / 투명한 부분을 보존하여 저장 가능 JPG보다 손실은 적지만 압축률은 약간 낮음
TIF 무압축 또는 낮은 압축률 입출력 속도와 전송률이 높음 용량이 크고 하위 버전 호환이 되지 않음
PSD 포토샵 전용 포맷 포토샵 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전용 포맷

이미지 파일 크기 비교 및 예시 #

파일 크기는 일반적으로 GIF < JPG < PNG < TIF < BMP < PSD 순이지만, JPG와 TIF의 경우 저장 시 압축률이나 압축방식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방식으로 설정을 했느냐에 따라서 최종 용량은 다를 수 있다.

포맷 실제 이미지 예시 용량 비고
BMP Image 29KB
GIF Image 3KB 배경 투명도 유지
JPG Image 6KB 품질 70으로 저장 (품질 100으로 저장 시 11KB)
PNG Image 7KB 배경 투명도 유지 (예시파일의 원본)
TIF 8KB 무손실압축 (압축하지 않을 경우 32KB)

이미지 파일 포맷별 특징 #

BMP (Microsoft Windows Device Independent Bitmap) #

전산 기기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포맷으로, 압축을 하지 않고 디지털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용량이 크지만 압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의 손실도 전혀 없는 방식이다. 따라서 원본 이미지를 보관해야 할 경우나 원본에서 조금의 변환도 허용되지 않는 상황(의료 관련 목적 등)에서는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압축을 하지 않지만 RLE 압축방식을 적용하는 방법도 있다.

GIF (Graphics Interchange Format) #

미국의 통신업체인 Compuserve에서 1987년에 개발한 그래픽 포맷이다. 비손실 압축형식으로 적은 용량에 비교적 좋은 화질을 가질 수 있지만, 최대 256컬러까지만 담을 수 있는 한계가 있어 다채로운 색상을 기록해야 할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렇지만 투명한 배경을 지원하고 하나의 GIF에 여러 이미지를 담아 애니메이션 형식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웹상에서도 목적에 따라 많이 사용되는 형태이다.

JPG (JPEG : Joint Picture Experts Group) #

이미지 압축 전문가 모임인 JPEG에서 개발한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뛰어난 압축률 때문에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포맷이다. 이미지를 저장할 때 이미지의 화질(압축률)을 설정할 수 있으며 압축률에 비해 이미지 손실이 적은 편이긴 하지만 압축률을 높일 경우에는 이미지의 전반적인 화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높은 압축률을 통한 용량 절약 효과와 디지털로 표현가능한 모든 컬러 정보(24비트)를 담을 수 있는 강력한 장점 때문에 현재 사진을 보관하는 국제표준 포맷으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 투명한 배경을 지원하지 않고 레이어나 알파채널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웹페이지를 구축하거나 편집을 위한 공유를 할 때는 활용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PNG (Portable Network Graphics) #

GIF 이미지가 2006년까지 특허로 보호받고 있어 라이센스 없이는 사용에 제약이 있었는데, 이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포맷으로 GIF와 JPG의 장점이 결합되어 탄생하였다. JPG처럼 높은 압축률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미지 화질의 손실이 적고, GIF보다 많은 컬러를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투명 배경을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게다가 JPG에서는 담을 수 없었던 알파채널와 컬러정보를 담아 포토샵과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GIF에서 가능한 애니메이션 기능이 없고(여러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은 불가) JPG나 GIF보다는 다소 용량이 큰 한계점이 있다.

PNG포맷의 라이센스 관련 이슈 #

원래 GIF는 [[WWW]]가 대중화되기 전 ComputServe(우리나라에서는 케이텔이나 천리안과 유사한 서비스)라는 통신서비스 회사에서 개발한 파일 형식이다. 파일을 생성할 때 [[LZW]]라는 압축 기술이 [[IBM]]과 [[Unisys]]의 특허이다. 현재 이 특허는 유효기간이 지나서 웹에서 표현하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GNU의 GIF에 대한 입장](http://www.gnu.org/philosophy/gif.html)을 한번 읽어 볼 만하다.

TIF (TIFF : Tag Image File Format) #

포토샵을 만든 Adobe사와 윈도우즈를 만든 Microsoft사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파일포맷으로, 운영체제나 기종에 관계없이 그래픽 파일을 공유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에서 탄생하였다. 맥과 윈도우, 리눅스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매우 높으며 저장 시 다양한 압축방식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설정하여 사용 수 있다. 한 때는 스캐너의 기본 이미지 포맷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PNG와 같이 색상 정보와 알파 채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나 투명 배경을 저장할 수는 없다. BMP를 제외한 다소 포맷에 비해 다소 용량이 큰 편이라는 점이 단점이다.

기타 포맷 #

위와 같이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포맷 외에도 예전에 많이 사용되던 pcx와 같은 포맷도 있으며, Adobe Photoshop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PSD, Adobe Illustrator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ai, 3D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인 3D Studio Max에서 사용할 수 있는 3ds 등 특정 편집 소프트웨어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포맷들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용 포맷들을 전용 프로그램이 없이도 편집할 수 있는 제3의 그래픽 프로그램들도 나오는 추세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런 전용포맷들은 해당 프로그램에서 가장 완벽하게 사용하고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

Incoming Links #

Related People #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