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영양유전체학 #

Find similar titles

1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yhha
  • 최근 업데이트
    KyujinLee

인간의 건강과 영양에 대한 대사체 진단기술, 단백질체학, 전사체학, 유전체학을 적용하여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개인이 섭취한 영양소에 반응하는 차이는 규정함으로써 개인별 맞춤 식품을 추천하는, 유전체와 영양소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유전자 대량 분석기술을 영양학에 적용한 학문이다.
영양소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단백질 합성, 활성의 변화, 대사물질의 합성과 분해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동시에 연구함으로써 질병의 유발과 예방에 관여하는 유전체-영양소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또한 개인의 유전자 다형성이 영양소의 체내 대사 및 식이관련 질병에 대한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과 영양소가 염색체 면화에 미치는 영양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영양유전체학이 발전해감에 따라 인간의 유전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식품의 규명 뿐만 아니라 기작까지도 밝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매우 중요하다. 궁극적인 목표는 타겟으로 한 영양소를 통해서 질병을 예방, 잠재적으로는 치료까지도 하는데 있다.
1996년 Ghai와 그 동료들은 감귤류 껍질에서 발견된 특정 플라보노이드가 인간의 암 예방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대시킨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식품과 유전자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시초가 되었다.
1994년 Dannenberg과 Reidenberg (1994)는 dietary fat이 약물로서 작용한다고 제안하며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여러 지방산과 관련된 약리학적 효과를 상술하였다.
Folate의 경우 이미 유전자 발현 조절인자로써 알려져 있다. Folate는 purine과 thymidylate 합성 및 DNAmethylation에 관여하는 전구체를 제공하여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
영양소/유전자/질병 간의 관계는 일반 식품 재료를 통해 증명되고 있다. 토코페롤, 바이오틴, 미네랄, 플라보노이드, 카테킨 등은 human cell의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키는 인자로써 알려져 왔으며 세포 배양을 통해 식품 성분이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기작 규명할 수 있게 되었다.

Ref.
1.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을 통한 식품개발, 김범근
2.영양유전체학 분야의 최근 동향과 개인 맞춤영양, 정자용

Incoming Links #

Related Bioinformaticses #

Suggested Pages #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