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아미노산(Amino acid)은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 이다. 아미노산은 분자 내에 산성인 카르복실기(-COOH)와 염기성인 아미노기(-NH2)를 모두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이 작용기의 수에 따라 산성, 중성(아미노기1, 카르복실기1), 염기성을 띠는 아미노산으로 분류한다.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가 동일한 탄소 원자에 결합된 것을 α-아미노산이라 하고, 둘 사이의 상대적 거리에 따라서 β-아미노산, γ-아미노산, δ-아미노산 … 등으로 불린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다. 이 때,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은 모두 α-아미노산이고, 동식물에 존재하는 수많은 아미노산도 대부분이 α-아미노산이다.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아미노산은 α-아미노산을 의미한다. 이러한 아미노산들이 일정한 순서에 의하여 결합하여 단백질을 형성한다. 따라서 단백질은 수 많은 아미노산의 연결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결체를 폴리펩티드(polypeptide)라고 한다. 아미노산이 결합할 때 물 분자가 빠져나가면서 -CO-NH- 같은 펩티드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이 생긴다. 단백질은 위장에서 소화 효소에 의하여 가수 분해되고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체내에 에너지원으로 흡수되게 된다. 이렇게 흡수된 아미노산은 유전자 정보에 의하여 일정한 순서로 재배열하여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로 합성된다. 우리 몸은 기본적인 뼈와 근육 뿐만 아니라, 피와 살, 여러 세포, 항체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체내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아미노산의 대부분은 체내에서 합성된다. 이중 체내에서 합성하지 못하거나 필요량보다 적게 합성되는 아미노산을 필수아미노산이라 하며, 나머지는 비 필수아미노산이라고 한다.
Fig.1. α-아미노산의 구조
출처:google
Fig.2. 펩티드결합
출처:google
Table of Contents
참고 #
Incoming Links #
Related Articles (Article 0) #
Related Bioinformaticses (Bioinformatics 1) #
Suggested Pages #
- 0.297 후성유전학
- 0.276 진핵세포
- 0.050 ncRNA
- 0.042 Xenopus/Obtaining Embryos
- 0.035 바이러스
- 0.032 CpG island
- 0.026 구제역바이러스
- 0.025 Peptide nucleic acid
- 0.024 Norovirus
- 0.023 Xenopus
- More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