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마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 Category
- Database
Table of Contents
스키마(Schema)란? #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엔티티, 엔티티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 엔티티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한 정의와, 이들이 유지해야 할 제약조건 등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 것이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명시하며 자주 변경되지 않으나, 데이터베이스의 요구 사항이 변경될 경우 스키마가 변경된다.
스키마 생성 #
스키마는 데이터 사전에 저장되며, 현실 세계의 어떤 특정 부분을 표현하기 위하여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 스키마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짐
* 특정 시점에 데이터베이스에 들어있는 데이터인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
대부분의 데이터 모델이 스키마를 도식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도식화된 스키마를 스키마 다이어그램(Schema Diagram)이라 한다.
스키마 다이어그램은 스키마의 일부 관점만을 표시할 뿐, 각 항목의 데이터 타입, 다른 파일들과의 관계 등은 표현하지 않는다.
- 스키마 다이어그램 예시
3단계 스키마 아키텍처 #
스키마의 구조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과 논리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기술, 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기술에 이르는 3단계로 구분하여 명명한다.
- 목적 : 사용자의 응용과 물리적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는 것
- 구성 : 외부 단계(External Level), 개념 단계(Conceptual Level), 내부 단계(Internal Level)
-
외부 단계(External Level) 데이터 추상화 작업의 첫 번째 단계로써 주로 외부의 어플리케이션에 위치하며, 전체적인 데이터베이스의 부분적인 기술이다. 외부 스키마는 최종 사용자에게 부분적으로 필요한 요구 사항에 해당한다.
-
개념 단계(Conceptual Level)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관리하는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 것으로 응용 시스템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통한 전체의 데이터베이스이다.
-
내부 단계(Internal Level)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방법을 기술한 것으로, 개념 스키마를 디스크 기억장치에 물리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데이터 관점에서 3단계 스키마 해석 #
-
외부 스키마 : 각 사용자의 관점
- 사용자 1 ABC 필요 -> 스키마 ABC
- 사용자 2 DEF 필요 -> 스키마 DEF
- 사용자 3 AEX 필요 -> 스키마 AEX
- 사용자 4 XYZ 필요 -> 스키마 XYZ
-
개념 스키마 : 전체 관점 필요
- 스키마 ABCDEFXYZ 필요
-
내부 스키마 : 내부 관점 필요
- 스키마 ABCDEFXYZ를 물리적으로 ABCDEF와 XYZ로 나누고 각각을 다른 디스크 배열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