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hong@insilicogen.com
Structured data
- Category
- Computer science
Table of Contents
스마트팜(Smart Farm) = 강소농, 농업과 ICT 융합 #
스마트팜(Smart Farm)은 강소농, 농업과 ICT융합이다. IT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새로운 물결(마이클 포터. HBR 2014)이라 할 수 있다. 잠시 IT의 역사를 살펴보면 크게 3가지의 물결이 있다. 첫 번째, 1970년도 "공장과 회계처리에 사용"이 최초의 물결이었다면, 1980-1990년 대의 "인터넷"은 두 번째 물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현재 맞이하고 있는 세 번째 물결에 대하여 알아보자. 현재 세계 산업은 인더스트리 3.0에서 인더스트리 4.0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에 극단적으로 모든 산업체는 소프트웨어 기업화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중심은 "모바일과 IoT" 라는 새로운 물결의 시대(세 번째 물결)이며, 이를 모두 활용한 대표적인 예가 스마트팜 이다.
스마트팜(Smart Farm) #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을 접목한 지능화 농장이다.
스마트팜은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농작물과 가축의 가변성에 대한 관찰, 측정, 반응에 기반을 둔 농축산업 관리 개념이다. 농작물 재배 시설 및 축사의 온도 · 습도 · 햇볕량 · 이산화탄소 · 토양 등을 측정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적절한 상태로 변화시키는 작업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지능화 외에 스마트폰과 드론을 연계한 원격 관리가 가능하다.
스마트팜으로 농축산업의 생산 · 유통 · 소비 과정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 및 품질 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시킬 수 있으며, 농축산업 인구 감소 및 고령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스마트팜의 세대별 구분 #
스마트팜과 농생산 #
작물 생육 정보와 환경정보 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작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점검하고, 적기 처방함으로써 노동력·에너지·양분 등을 종전보다 덜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 제고가 가능하다.
스마트팜의 운영원리 #
스마트팜 - 원예 #
농산물의 생산과정에 ICT기술을 접목해 원예 농산물의 생산성과 부가가치를 향상하기 위한 스마트팜 기술. 농산물 생산과정에서 운영원리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생육환경 유지 관리, SW로 온실과 축사의 온습도, CO2 수준 등 생육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 둘째, 온·습도, 일사량, CO2, 생육환경 등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셋째, 자동 원격으로 냉·난방기 구동, 창문 개폐, CO2, 영양분 및 사료 공급 등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다.
스마트팜 - 축산 #
가축의 사육과정에 ICT기술을 접목해 축산업의 생산성과 부가가치를 향상하기 위한 기술. PC나 모바일로 축사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사료 및 물 공급 시기와 양을 원격 자동으로 제어한다. 축산의 경우 특히 소, 양돈, 양계를 중심으로 계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타 농업 분야보다 자본 축적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그 외의 스마트팜 적용 #
-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한 스마트 팜이 보편적으로 확산되면 노동·에너지 등 투입 요소의 최적 사용을 통해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미래성장산업으로 견인 가능하다. 단순한 노동력 절감 차원을 넘어서 농작업의 시간적·공간적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여유시간도 늘고, 삶의 질도 개선되어 우수 신규인력의 농촌 유입 가능성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 농업과 ICT의 융합은 생산분야 이외에 유통·소비 및 농촌생활에 이르기까지 현장의 혁신을 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광의의 스마트팜이라 할 수 있다. 즉
생산·유통·소비 등 농식품의 가치사슬(value-chain)에 ICT를 융복합하여 생산의 정밀화, 유통의 지능화, 경영의 선진화 등 상품, 서비스, 공정 혁신 및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IoT)·기계화에 기반한 농업생산, POS-Mall을 통한 전자상거래 등 유통, RFID에 기반한 농산물 이력추적관리까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을 통해 질병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신속히 방역대를 설정하고 취약농가 소독, 이동제한 등 효율적인 방역의 실시가 가능하다.
- 스마트팜 맵(농경지 전자지도) 기반으로 주요 수급품목에 원격탐사를 통해 재배면적, 생육현황 및 생산량 예측 등 정밀한 작황 추정이 가능하다. (무인항공기, 초분광 항공 영상을 활용한 재배면적 및 작황 정보수집 및 모니터링)
- 기존 농기계에 ICT 전자부품을 접목하면 정밀 농업과 스마트 농업의 실현이 가능하다. (센싱, 컨트롤링, 무인 자동화, 정보수집 등 기능접목으로 농업인의 작업을 돕고 정밀농업이 가능한 제반 기술적 요소들이 반영된 스마트 농기계 활용)
출처 #
http://www.smartfarmkorea.net/itis/main.do
http://www.storagestory.com/503
https://spri.kr/wp-content/uploads/2015/04/2015-Smart-Farm-in-Korea.pdf
여욱현 외6(2016), 스마트팜 구현을 위한 연구동향 및 ICT 핵심분석, ISSN 2288-0992
Suggested Pages #
- 0.025 IoT
- 0.013 헬스케어
- More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