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생물정보동향2016-0701호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Business
바이오 및 생물정보 동향 (2016-0701호) #
- 7월은 유전자 검사를 민간업체에서 할 수 있다는 이슈가 뜨거웠던 기간이었습니다.
- 특히, 지난 6월 24일 보건복지부 발표 이후 6월 30일부터 민간 업체들도 체질량지수, 콜레스테롤, 혈당, 탈모, 피부노화 등 12개 항목에 속하는 42종의 유전자 검사를 시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와 관련하여 관련 바이오업계의 주가는 7월 중 20~30% 가량 상승하였고, 여러가지 DTC 관련 신제품들이 시장에 출현하였습니다.
- 한편, (주)인실리코젠, 국립수산과학원 및 제주대학과 공동 수행 했던 조피볼락 유전체 해독 성공에 대한 기사 역시도 이슈가 되었던 7월 이었습니다.
유전체 및 생물정보 이슈 #
매일일보 16.07.22 |
[이슈] 국립수과원, 조피볼락 차세대유전체 해독기술 분석 성공 •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주요 양식품종인 넙치와 전복 유전체 해독에 이어 조피볼락을 차세대 유전체 해독 기술로 분석하는데 성공 • 조피볼락은 우리나라에서 넙치 다음으로 많이 양식되는 어류로 흔히 ‘우럭’이라는 방언으로 알려진 종임 • 이번 프로젝트는 해양수산부에서 주관하는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 사업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와 제주대학교 이제희 교수팀, 생물정보 전문기업인 ㈜인실리코젠과 공동 수행 [오피니언] • 난태생 어류인 조피볼락 발생과정이 분자수준에서 구명되어, 향후 조피볼락의 어미관리 및 종묘생산 효율성 증대뿐만 아니라 육종연구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 |
매일경제 16.07.13 |
[이슈] 내 유전자 건강정보 이젠 집에서 받아볼수 있다 • 6월 30일부터 일부 항목에 한해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도 누구나 직접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음 • 보건복지부는 혈당, 비만, 카페인대사, 비타민C 농도 등 총 12개 항목과 관련된 46개 유전자에 한해 DTC(Direct to Consumer)를 허용 • 관련 기업들은 다양한 유통채널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고, 보험사 등 금융상품과 연계하거나, 소셜커머스·인터넷 쇼핑몰과 제휴를 모색 중임 • 약국은 물론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방안도 고려 • 유전자 검사는 크게 진단과 예측 서비스로 나뉘어지는데, 질병 진단은 반드시 의료기관을 거쳐야 하고, 예측 서비스 중 일부만 DTC로 허용 [오피니언] • 고객 접촉 채널은 보험사 등 금융회사와의 제휴가 가장 활발하고, 편의점, 소셜커머스, 홈쇼핑 등 다방면으로 고려하고 있지만, 자칫 유전자 분석의 전문적인 이미지가 희석될까 우려도 있음 • "DTC 검사 시장도 중요하지만, 확장할 수 있는 헬스&뷰티 산업과의 제휴 분야도 크며 맞춤형 미용·화장품은 물론 건강기능 식품 등 다양한 분야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 이라고 기대함 |
중앙일보 16.07.19 |
[이슈] 면봉으로 세포 채취해 택배로 보내 10만원이면 탈모 가능성 알 수 있다 • 검사 키트의 면봉을 입안에 넣고 여러 번 문질러 구강 상피세포를 채취 • 이 면봉을 밀봉해 택배로 해당 업체에 보내 주고, 분석 결과는 약 4주 뒤 업체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검사비용은 10만~15만원 정도) • 이렇게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건 12가지 항목에 해당하는 46개 유전자 • 구체적으로는 대사 관련 7가지 항목(체질량지수, 중성지방 농도, 콜레스테롤, 혈당, 혈압, 비타민C 농도, 카페인 대사)과 피부 관련 5가지 항목(색소 침착, 탈모, 모발 굵기, 피부 노화, 피부 탄력)임 • 인간뿐 아니라 국내 반려동물 유전자 검사 시장도 성장하고 있음 [오피니언]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관계자는 “질병은 유전뿐 아니라 식이요법·생활습관 등 환경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유전자 검사에 대한 과장 광고 오·남용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 • DTC를 목표로 하는 다양한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동반성장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음 |
바이오 산업 #
연합뉴스 16.07.20 |
[이슈] "벤처끼리 손잡자" 진화하는 바이오업계 개방형 혁신 • '개방형 혁신'은 다른 기업이나 기술력을 지닌 소규모 창업기업(스타트업), 학계 등 외부의 기술과 아이디어를 적극 받아들이고 공유해 새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회사 혁신 방식 •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개방형 혁신은 유한양행, 녹십자, 한미약품 등 대형 제약사가 중심에 서서 바이오벤처, 학계 등과 협업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어 왔음 • 그러나 최근에는 바이오벤처가 또 다른 벤처를 발굴하거나 벤처 업체끼리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등 으로 혁신 범주가 넓어지고 있음 • 휴젤, 바이오리더스, 브릿지바이오, 아미코젠 등 바이오벤처들은 대형 제약사가 아닌 벤처나 관계사 등과의 협업에 나서고 있음 [오피니언] • 이전에는 대부분 바이오벤처가 초기 단계 연구에만 집중했기 때문에 벤처끼리의 협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이 없어 대형 제약사와 손잡는 일이 필요했음 • 급증하는 의료비 절감과 미래 의료 시장 선점을 목표로 종합계획을 마련 • 하지만 최근엔 바이오벤처 간 협업으로도 서로 이득을 줄 수 있는 생태계가 형성됐다는 것을 반증 • 기존 바이오벤처들이 기초 연구에만 집중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다양한 역량을 갖추면서 벤처들끼리도 충분히 협업하고 상승효과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짐 • 업계의 성숙과 함께 바이오벤처 사이의 개방형 혁신은 더욱 많아질 것으로 예상 |
데일리팜 16.07.27 |
[이슈] '유전자분석 시장' 관심 Up, 2조원 시장 규모 예고 • 바이오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전자분석 시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 • 이미 외국에선 개인 유전자 분석에 1000달러 시대가 열리고 있고, 우리 돈 100만원 가량이면 유전자 분석이 가능해진 것 • 전문가들은 유전자 분석 시장이 올해 약 2조원 규모를 형성될 것으로 예상 • 바이오산업에 본격 진출한 삼성 역시 삼성SDS가 유전자 분석 사업을 담당, 현재 클라우드컴퓨팅 기반으로 유전자 샘플 투입부터 염기서열의 완전한 해독에 이르는 차세대 유전자 처리 프로세스를 공동으로 개발 중 [오피니언] • 삼성SDS는 향후 의료기관이나 유전자 분석기관 등을 대상으로 유전자 분야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제휴사들과 함께 인간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가고 있음 [오피니언] • 사실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비 대부분은 외국제품이나 최근에는 국내기업에서도 시장성을 인식하고 참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정부도 투자를 계획 중이라고 함(산업통상부 관계자) |
환경일보 16.07.25 |
[이슈] ‘무·배추’ 출생과 관계의 비밀 밝혀내 • 농촌진흥청은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농생물게놈활용연구사업단의 명지대 문정환 교수, 가톨릭대 유희주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남신 박사 연구팀과 함께 무 염기서열 해독과 배추, 양배추, 겨자, 유채 등 배추과 작물에서 무의 진화적 기원과 위치를 밝혔음 • 차세대염기서열방법을 이용해 무 유전자 지역의 98% 이상인 약 426.2Mb 염기서열을 완전 해독한 뒤, 9개 염색체 서열로 정렬하고 4만6514개의 유전자 정보를 확보 • 무는 국내 종자수출액이 1364만달러로 채소종자 중 전체 1위이자 모든 작물의 수출총액 중 3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작물 • 육종기술의 국제 경제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내 자원의 무 유전체 정보 확보가 필수적인 선결조건으로, 동식물의 각급 분류군에 붙여지는 학명을 처음 만든 식물학자 린네에 의해 배추와 무는 서로 다른 속(屬, genus)의 식물로 이름 붙여져 현재까지 사용 [오피니언] • 농촌진흥청 조남준 연구운영과장은 “무의 유전체 정보는 이미 밝혀진 배추, 양배추, 유채 등 배추과작물의 유전체 정보와 함께 앞으로 배추과 품종개발 관련 세계 최고의 분자육종 기술을 확보 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맞춤형 무 품종 개발이 가까이 왔다”고 밝힘 |
연합뉴스 16.08.01 |
[이슈] 구글, 제약 신사업 진출, GSK와 손잡고 생체전자공학회사 설립 •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의 생명과학분야 자회사인 '베릴리 생명과학'은 1일(현지시간)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합작해 '갈바니 생체전자공학'(Galvani Bioelectronics)을 설립한다고 보도 • 양사는 앞으로 7년 동안 갈바니에 총 5억4천만 파운드(약 7천925억원)를 투자 • 본사는 영국 하트퍼드셔 스테버니지 GSK 연구센터에 두며, 두 번째 연구소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의 베릴리 시설에 둠 • 갈바니는 소형 주입용 장치를 개발해 신경에 지속적으로 전기 신호를 흘려주는 방식의 신(新)의료·제약분야인 생체전자공학을 활용해 천식, 관절염, 당뇨 등 만성질환 치료법을 찾을 계획 |
학술/사설 #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16.07.04 |
레이저 박리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딱딱한 유리 기판에 제작된 투명한 고성능 전자소자를 유연기판으로 전사하여 피부에 부착 가능한 고성능 유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구현하는데 성공 [연구내용] • IoT 시대의 도래와 함께 정보의 상호교환이 중요해지면서, 가상·증강현실 및 피부부착형 웨어러블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차세대 투명 유연 디스플레이가 각광받고 있는 시점에서, 박상희, 이건재 교수(KAIST) 연구팀은 레이저 박리 기술을 활용하여 고온 공정을 거쳐 제작된 고성능 반도체 산화물을 떼어내어 초박막 유연 기판 위에 전사하는 공정을 개발 [오피니언] • 기존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며 또한 레이저 박리를 통하여 유연 기판에 전사하는 기술이 소자의 종류나 크기에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는 점이 웨어러블 전자기기 실용화 가능성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Genome Biology 2016.06.23 국제신문 2016.07.07 |
유전자 소셜 네트워크로 암유전자 찾아낸다 • 새로운 암유전자 발굴·치료, 희귀함 등 유전체 연구 기여 기대 [연구내용] • 이인석 교수 연구팀(연세대)은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연구는 세계적 학술지 게놈 바이올로지(Genome Biology) 6월 23일자에 게재 • 유전자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암유전체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암 유전자를 예측·발굴하는 웹기반 예측 시스템 머핀MUFFINN을 개발 • 이는 기존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기반으로는 예측이 불가능했던 암 유전자의 예측을 가능하게 해줌 • 국제 유전체연구팀(TCGA: The Cancer Genome Atlas)이 발표한 18종의 암유전체 빅데이터를 개발된 시스템에 적용시켜 본 결과, 잘 알려진 암유전자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암 유전자도 효과적으로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음 • 특히 돌연변이 출현 빈도가 낮아서 기존의 통계적 방법으로는 예측이 불가능했던 다수의 유전자들이 머핀 시스템으로는 효과적으로 예측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함 [오피니언] • 유전자 소셜 네트워크를 어떻게 암유전체 연구를 분석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 연구사례임 • 웹 개방형으로 구축된 머핀 시스템은 모든 암유전체 연구자들이 쉽게 이용 가능하여 많은 암연구자들의 연구를 도와줄 수 있음 • 다수 환자의 유전체 정보가 필수적이었던 기존의 통계적 방법과 달리 머핀은 적은 환자의 유전체 정보만으로도 효율적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 수가 적은 희귀암 등의 연구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 |
생물정보 솔루션 소식 #
CLC Main Workbench 만원의 행복 프로모션 |
[소식]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CLC Main Workbench' 100명 한정 만원의 행복 프로모션 [기능] • 생물정보 분석을 위해 최적의 환경과 지속적 온/오프라인 지원 및 커뮤니케이션 제공을 위한 생물정보 기초 다잡기 프로젝트(생기다) 진행 • 8월 1일부터 딱 한달간, 선착순 100명 한정 |
CLC Main Workbench Review |
[소식] CLC Main Workbench를 활용한 Case Study로 결핵균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약물 저항성 결핵균을 찾아낸 연구임 [기능] • Primer Disign, Assembly, Blast Search 및 Alignment Analysis 까지의 모든 과정을 CLC Main Workbench를 통하여 진행 |
IPA summer 2016 release |
[소식] 2016년 IPA 여름맞이 업데이트 소식 [기능] • IPA의 IsoProfiler가 새롭게 디자인 • 특이적인 발현 패턴을 갖는 Isoforms 규명 • 가장 특이적인 Isoforms을 우선순위로 정렬 •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Isoforms에 초점을 맞춤 • 한개 또는 두개 이상의 멀티 데이터셋과 비교하여 발현수준을 가시화할 수 있음 • 자세한 정보는 본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함 |
바이오 및 생물정보 동향에 관한 문의 및 공동사업을 위한 자세한 문의는 info@insilicogen.com 으로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Other Posts #
- newer 생물정보동향2016-0503호
- older Biopython/GenomeDi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