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생물정보동향2016-0601호 #
Find similar titles

Structured data

Category
Business

바이오 및 생물정보 동향 (2016-0601호) #

  • 6월은 바이오와 유전체 분야에 관한 정부의 육성계획 관련 기사가 많았습니다.
  • 특히, 지난 5월 25일 발표된 바이오 중기 육성전략 및 창조경제 10대 활성화 방안을 기점으로 여러분야에서 바이오 산업 활성화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유전체 및 생물정보 이슈 #

Image
매일경제 16.06.13
[이슈]
유전체 빅데이터로 질병지도 그린다
• 동일한 병명의 류머티즘 관절염도 알고 보면 같은 류머티즘 관절염이 아닐 수 있음
• 발생 원인이나 치료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
•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한범 교수 연구팀이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러한 질병의 세부 특성을 구분해 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붐박스(BUHMBOX)'개발
• 이 알고리즘을 활용해 류머티즘 관절염의 소분류의 하나인 CCP(Cyclic Citrullinated Peptide) 음성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 2406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

[오피니언]
• 맞춤형 치료를 목표로 하는 정밀의학이 대세
• 질병과 질병 사이의 유전적 유사성을 찾아낸다면 기존 치료 약을 다른 질병의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로 될것
Image
Image
전자신문 16.06.21
[이슈]
의료 이어 농수산물까지 바이오로 확장, 차세대 그린 바이오 육성 본격화
•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르면 올해 8월까지 그린 바이오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 예정
• 정부는 종합계획을 통해 그린 바이오 중에서도 미래 먹거리로 평가받는 분야를 선정, 집중 육성할 방침
• 농림부가 주도하되 미래부, 산업부, 복지부, 해수부, 산림청 등 다부처가 참여해 계획을 수립
• 바이오산업 중심으로 체질을 전환하기 위해 바이오 헬스케어 규제혁신을 발표하며 2020년까지 바이오 7대 강국 도약을 선언

[오피니언]
• 그린 바이오는 가공하지 않은 1차 농수산물에 바이오 기술을 접목해 종자, 의약품, 기능성 식품 등을 개발하는 분야
•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종자 개량 △사물인터넷(IoT) 등 최신 ICT를 활용한 스마트팜 △천연물 추출 의약품 및 화장품, 건강 보조식품 △곤충 등 미래 식량 발굴 등 유전체 정보 활용 극대화 예정
• 농식품 분야에서의 유전체 정보산업의 발달 예상

바이오 산업 #

Image
Image
전자신문 16.05.28
[이슈]
현대의학 열쇠 정밀의료, 종합계획 7월 출시
• 정부가 정밀의학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R&D) 종합계획을 마련
•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 적용은 물론 각종 규제를 해소하는 특별법 제정을 검토

[오피니언]
• 복지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해 공공 및 민간 전문가 17명이 참여
• 급증하는 의료비 절감과 미래 의료 시장 선점을 목표로 종합계획을 마련
• "현행법상 관련 규제가 많아서 의료 데이터 활용이 어려웠는데 법 개정보다는 미국처럼 특별법 제정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데이터 확보와 활용, 상용 클라우드 적용 등을 담을 것을 전함
• 종합계획은 세계 시장 선도를 위한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 “의료 데이터 활용 문제를 특별법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회 합의가 필요하다”면서 “미국 정밀의료 계획을 상당수 채택하는 가운데 이를 우리 환경에 어떻게 적용할지, 부처 간 협업은 어느 수준까지 이뤄질지 등이 과제
Image
Image
이데일리 16.06.13
[이슈]
美 동부 바이오밸리의 기적: 한국의 200배 규모의 넘치는 美 바이오 투자
• 지난해 미국 헬스케어 분야의 벤처캐피털 투자금액은 590억달러(약 69조9740억 원)로 추정
• 지난 2000년 정보기술(IT) 거품이 한창이던 때 이후 15년만에 최대치
• 우리 돈으로 70조원에 달하는 금액이 한 해 동안 미국 바이오벤처에 투자
• 매사추세츠주의 바이오제약 산업 성장률은 지난 2014년 기준으로 4.9%다. 미국의 전체 성장률(2.43%)을 두 배 이상 웃도는 수치

[오피니언]
• MIT 샤프 교수는, 6월 1일 MIT에서 열린 켄달스퀘어 컨버전스 2016 컨퍼런스에서, 바이오산업의 르네상스가 일어나고 있다고 밝힘
• 거대 규모의 투자금액이 바이오에 집중되는 미국의 케이스를 보며 한국 또한 바이오 육성에 대한 계획이 철저히 필요함
Image
서울경제 16.06.19
[기고문]
대한민국의 성장 아이콘 ‘바이오’
• 홍남기 미래창조과학부 1차관 '김치'에 깃든 잠재력 이어져 글로벌 경쟁서도 성과 꾸준 전문가 육성·R&D 지원 등 정부, 기업과 함께 노력할 것
• 철강과 조선, 해양플랜트와 석유화학 등 그간의 성장과 고용을 이끌어온 전통 주력산업들이 구조 조정에 직면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음
• 이러한 위기 국면을 타개할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이 절실한 시점에서 바이오가 주목 받고 있음
• 정부는 25일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제2차 바이오특별위원회(위원장: 홍남기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를 열어 '바이오 미래전략'의 이행실적 점검과 '바이오 중기(2016∼2018) 육성전략', '바이오 창조경제 10대 활성화 프로젝트 추진방안'을 심의·확정

학술/사설 #

Image
Image
Mol. Pharmaceutics 2016.05.31
체내 염증만 보여주는 방사성의약품 등장
• 질환진단용 방사성지르코늄으로 PET진단신약 개발

[연구내용]
• 한국원자력의학원의 50MeV급 사이클로트론 생산시설에서 국내 최초로 질환진단용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89(Zr-89)를 생산하여, 방사성지르코늄 옥살레이트(Zr-89 oxalate)를 개발
• 종양세포 및 염증세포에 대한 [F-18]FDG와 방사성지르코늄 옥살레이트(Zr-89 oxalate)를 비교한 결과, [F-18]FDG는 종양세포와 염증세포 모두에서 높은 섭취율을 나타내는 반면에, 방사성지르코늄 옥살레이트(Zr-89 oxalate)는 종양세포에서는 낮은 섭취율과 염증세포에서는 높은 섭취율을 나타냄

[오피니언]
• 방사성을 통한 세포의 변화 및 유전자 변화를 볼수 있는 연구를 통해 방사성 신약 및 질환 진단에 기여가 클것으로 예상

사업공고 #

Image
농림축산식품부
• 2016년도 농림축산식품 연구개발사업 자유응모과제 시행계획 공고
• 공고기간: 2016. 6. 24.(금) ~ 7. 25.(월), 32일간
• 접수기간:2016. 7. 11.(월) ~ 7. 25.(월) 18:00 까지 • 신청방법: 농림수산식품 R&D 통합정보서비스(FRIS, http://www.fris.go.kr)에 접속하여 온라인 접수
• 담당자 전화: 사업총괄실(031-420-6753)

생물정보 솔루션 소식 #

Image
Perturbations 6월 한달간 무료
[소식]
인기툴인 'Perturbations'이 6월 한달간 무료

[기능]
• 특정 질병, 약물, 변이 같은 Perturbations이 관심유전자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볼 수 있음
• 수천개의 큐레이션된 실험셋과 그에 관련된 특정 조건들을 fold-change, p-value을 기반으로 선택 가능
• Blast2GO App Manager에서 Blast2GO에 새로운 툴을 추가 가능
• Genevestigator에서 선택할 수 있는 기관, 조직, 세포 타입 등이 최근 릴리즈된 CALOHA ontology에 의해 구조화되어 있음
Image
Image
QIAGEN, New plugin for GATK integration
[소식]
QIAGEN, Revolutionized epigenomics data analysis 2016.06.13

[기능]
• GATK 파이프라인의 통합
• 희귀 유전 질환의 이해
• RNA-Seq을 이용한 Transcriptome analysis
• IPA와 gene expression data analysis
• Qiagen Webinar를 통해 Epigenomics data로부터 bisulfite sequencing를 통한 DNA methylation 찾기, Transcription factor ChIP-Seq, Histone ChIP-Seq같은 분석가능
Image
Image
Qiagen, CLC Main Workbench Review
[소식]
2- DATABASE SEARCH & BLAST

[기능]
• CLC Main Workbench에는 여러 가지 기능들이 많지만 그 중에서 Database Search와 BLAST 기능 소개
• CLC Main Workbench에서는 NCBI와 단백질 서열 데이터베이스인 UniProt와 PDB 세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하여 서열 다운로드 가능
• CLC Main Workbench에서 좌측 하단에 Toolbox가 있고, 여러가지 툴들 중 ‘BLAST’툴을 더블클릭하여 진행할 수 있음
자세한 정보는 본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



Image

(주)인실리코젠

바이오 및 생물정보 동향에 관한 문의 및 공동사업을 위한 자세한 문의는 으로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