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생물정보동향2016-0504호 #

Find similar titles

16회 업데이트 됨.

Edit

Structured data

Category
Business

바이오 및 생물정보 동향 (2016-0504호) #

  • 5월 넷째 주는 주로 스마트팜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국내에서 스마트팜 서비스를 출시한 KT의 소식도 있습니다.
  • 또한, 오바마 정부의 마지막 프로젝트로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는데, 미생물 메타지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전체 및 생물정보 이슈 #

Image
한국경제신문 16.05.13
[이슈]
오바마의 마지막 프로젝트, 미생물
• 농업·인간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 약 1400억원 투자, 미생물 유전자 해독 통해 질병 원인·치료법 찾는다
• 우리 몸에 사람의 세포(1-조개)보다10배 많은 100조개의 미생물 존재
• 2007년부터 2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HMP는 미국인 242명의 코와 피부, 입, 소장 등 18개 신체 부위에서 미생물을 채취해 유전체 분석을 완료
• 오바마 미국 행정부는 지난 13일 임기 마지막 대형 과학프로젝트로 '국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미생물군집) 이니셔티브'를 발표

[이슈]
• 농작물과 소, 돼지 등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미생물을 비롯해 감염병과 정신질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 우주인에게 미생물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이 사업에는 2년간 1억2100만달러(약 1440억원)가 투자될 예정
• 이에따라 메타지놈 연구의 활성화가 더욱 박차를 가할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해석할수 있는 Qiagen Micorobiome Genomics Solution을 통해 미생물 유전체 분석을 쉽고 빠르게 해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
Image
머니투데이 16.05.25
[이슈]
미래부, 바이오시장 2,100억 투자 결정
• 정부, 바이오기술 스타트업 및 성장기업 자생적 생태계 구축을 대규모 지원
• 제2차 바이오특별위원회 열어 바이오 중기(2016~2018년) 육성전략 발표
• 바이오 산업 규제 및 코스닥 상장기준 완화
• 생명연구자원 통합관리체계 구축

[오피니언]
• R&D개발 주기가 긴 바이오 산업의 특성에 맞춘 지속적 노력 및 투자 필요
• 바이오 기업들의 자생적 생태계 조성
• 선진국형 창업-성장-투자회수-재투자 까지 역동적 선순환 고리 형성에 노력

바이오 산업 #

Image
전자통신동향분석




Image
smart-farm.blogspo
스마트팜 기술동향 및 전망
• 우리나라 농업은 농촌인구 감소 및 고령화, 곡물자급률하락, 농가 소득 정체, 한반도 기후변화 심화 등으로 어려운 상황
• 수입 농산물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국내 농경지도 지속적 하락으로 인한 농업 활성화 대책 필요
• 현재 선도농가 중심으로 최신 ICT 융합 스마트팜을 딸기, 토마토, 파프리카 재배에 일부 적용

[국내외 정책동향]
• EU, 정밀농업분야에 대한 농업 ICT 융합연구개발인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EU ICT-AGRI) 진행
• 네덜란드, 산학협력을 통한 그린포트와 시드밸리 원예산업 클러스터 단지 조성
• 일본, 정부차원에서 농업ICT 융합 기술개발 적극 지원(2014년부터 정부&기업 공동프로젝트 추진)
• 우리나라, 과학기술기반 농업혁신 전략보고회를 통해(2014.12) 한국형 스마트팜 개발하여 2017년까지 영세농가 8,000가구 대상 제공키로 함
- 농림축산식품부, 스마트팜 지원위해 2015년 예산 216억 확보하여 시설원예 및 종돈장에 투입 예정

[국내외 시장 동향]
• 통계청 보도에 따르면 세계 인구는 2015년 73억명이며, 2060년 99억명으로 35% 급증 예상
• 현 농업 생산방식으로는 식량수요 충족 불가능하여 첨단 기술 활용한 농업 필요
• 네덜란드는 우리나라 면적의 1/2이지만 첨단 ICT를 융합한 스마트 농업을 통하여 세계 2위의 농산품 수출국
• 일본의 스마트 농업 시장 규모도 2013년 66억엔 에서 2020년 308억엔으로 확대 전망
• 농진청은 SKT, KT와 스마트팜 시범사업 추진 중
• 대표적 스마트팜 성공사례인 전남 화순 한울농장은 기존보다 40% 이상 생산성 향상, 관리시간 역시 4배 이상 편리해지고 에너지 절감도 35% 달성

[국내외 기술동향]
• 미국 농업은 IoT 기술, 나노기술, 빅데이터&클라우드 기술, 로봇기술에 접목
• 구글X프로젝트팀
- 토양 수분 작물건강에 대한 데이터 수집
- 기후 악화시에도 생산량이 유지 또는 증가하는 작물품종 개발
- 드론을 이용한 작물 모니터링 관리
- 나노농약, 나조제초제, 나노센서 및 감별기 기술 개발
• 우리나라 스마트팜 기술의 주요 제품은 현재 대부분 외산 구입하여 시스템 구축하는 수준 임
• 제품 가격 및 운용&유지 보수 비용이 크고 AS가 어려운 상황
• 현재 스마트팜 시스템은 주로 스마트 미디어를 통한 원격제어(개폐, 관수, 보일러 작동 등), 현장 영상 및 환경정보 제공등으로 농민 편리성은 있으나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는 미흡
Image
Priva 사의 온실환경제어시스템 설치 사례
Image
Wageningen UR의 오이 자동수확 로봇
Image
Hortimax 사의 복합환경제어기
출처: ETRI
스마트팜의 국내외 산업 동향
[네덜란드]
• Piva 온실에서 작물이 필요로 하는 온도, 습도, 조명, 영양요소를 관리하는 온실환경제어시스템 및 양액자동제어시스템 개발 보급 기업
• 온실의 환경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빌딩의 내부 환경과 에너지 소비량 관리 가능한 시스템 개발하여 현재 네덜란드 공공건물의 약 30%에 적용
• 와헤닝헌 대학 연구센터는 네덜란드 농업자연식품부의 연구비 지원받아 오이를 자동수확할 수 있는 로봇 개발
• 온실환경에서 잘 익은 오이를 95% 정확도로 판별하고 75%를 수확
• Hortimax는 온실의 복합환경제어기를 개발 및 생산하는 회사로 우리나라에도 파프리카 재배 농민들이 주로 적용하고 있음

[일본]
• 후지쯔, NEC, IBM, NTT 등 유수 기업들이 농업 분야에 ICT 기술 접목하여 다양한 서비스 제공
• 후지쯔 농업관리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키사이는 IoT 센서를 이용하여 재배환경의 데이터를 실시간 계측, 수집, 분석하여 작물 재배에 활용

[우리나라]
• 우성하이텍, 국내 온실조건에 적합하도록 환경제어가 가능한 시스템, 시설원예 원격제어시스템, ICT 복합환경 시스템, 자연환기시스템 등을 개발하여 보급
Image
전남일보 2016.05.26
[이슈]
KT, IoT 통한 GiGA 스마트팜 서비스 출시
• KT는 설비 구축 비용을 최대 40%까지 줄여주고 온실시설 제어 성능을 대폭 향상시간 서비스 출시
• 센서가 달린 사물인터넷 기기를 통해 재배시설의 온도, 습도, 일사, C02 및 토양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어장치 구동 솔루션
• 농식품부의 스마트팜 가속화 대책과 연계해 스마트팜 도입 농가의 ICT 기술 사용의 어려움 및 AS 문제 해결을 위해 스마트팜 실습교육장 및 지원센터 전국 10개 개설

[오피니언]
• 빅데이터 기반으로 농업기술의 선진화를 이루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작물 품종 개선 및 생산성 확대를 위한 노력 필요

학술/사설 #

Image
Nature Communications 2016.05.13
장내 미생물 유전자의 장 관련 감염 질환 유도 원리 규명
• 숙주의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원인 미생물과 유전자를 찾아내 장 관련 질환의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제공

[연구내용]
• 암피실린, 반코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및 클린다마이신 등의 광범위 항생제에 처리된 실험용 쥐가 대표적 병원성세균 중 하나인 콜레라균에 의한 감염에 매우 취약해 지는 것을 확인
• 항생제의 복용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다양한 장내 세균 중 콜레라균과 상호 작용하는 단일 세균 종(대장균)을 분리 동정
• 균주의 전체 유전체(whole genome) 분석을 통해, 동정된 대장균이 기존의 대장균과는 상이한 특징이 존재함을 밝혀냄
• 항생제에 반응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을 통해 장내 공생미생물의 변화를 관찰하고 특정 유전자가 장내 환경을 변화시키고 그 결과 감염성 세균의 증식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

[오피니언]
• 항생제 오용으로 발생하는 장 관련 감염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할것으로 예상
• 특정 유전자를 규명함으로서 이후 관련 질환에서 확인 및 제어를 통해 항생제에 의해 발생하는 장 질환의 치료 방법을 찾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

사업공고 #

Image
미래창조과학부 공고
• 2016년 바이오 의료 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 재공고
• 접수기간: 5월 26일(목) ~ 6월 7일(화)
• 신청방법: 온라인 (https://ernd.nrf.re.kr/)
• 담당자 전화: 042-869-7759(연구소재지원사업)

생물정보 솔루션 소식 #

Image
Image
BIOBAM, BlattoGO
[소식]
3.3 버전으로 업데이트 2016.05.17

[기능]
• Local database를 만들고 이 database로 blast를 수행하기 용이
• Annotation 단계 진행 시 새로운 필터를 적용
• Blast2GO App Manager에서 Blast2GO에 새로운 툴을 추가 가능
• PSORTb 3라는 app을 이용하여 박테리아의 단백질 subcellular localization annotation 예측이 가능
• Generic table column의 distribution chart(dot, bar, line) 생성 가능
• LA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큰 데이터셋 내에 있는 유사하거나 불필요한 시퀀스를 찾고 삭제 가능
Image
QIAGEN, New RNA-Seq solution
[소식]
QIAGEN, New RNA-Seq solution - Best performance at CAGI 2016.05.16

[기능]
• CACI에서 최고 성과 창출
• 확실한 통찰력을 위한 새로운 RNA-seq 솔루션
• Genome assembly와 해석 가능



Image
(주)인실리코젠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