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비만세포 #

Find similar titles

3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hspark
  • 최근 업데이트
    hspark

Structured data

Category
Biology

비만세포 #

개요 #


Image
1878년 독일의 미생물학자인 Paul Ehrlich 는 큰 과립 질에 쌓여있는 세포를 발견한다. Paul은 이 과립 질이 영양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주변 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여, 살찌게 하다라는 뜻의 Mastzellen 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세포가 바로 비만 세포(Mast cell) 이다. 이후, 이 과립 질은 영양분이 아니라 히스타민이나 단백분해 효소 등 면역 반응과 연관된 물질들로 구성되어있음이 밝혀졌다.
히스타민 등의 면역물질을 포함한 과립을 가지고 있는 백혈구의 일종인 호염기성 과립구와 형태와 기능이 유사하지만, 호염기성 과립구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혈류를 따라 순환하지 않고 미성숙 세포가 특정 표적 기관으로 이동 후 정착하여 성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mage
비만세포는 몇몇 세포, 바이러스와 기생충 등에 대한 면역과 연관되어 있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세포질 내 과립을 탈과립시키면서 히스타민, 단백질 분해 효소 등의 다양한 면역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선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뿐만 아니라, 다른 면역 세포들이 모이도록 유도하는 케모카인(Chemokine) 과 같은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적응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역할도 한다.

비만세포와 알레르기성 질환 #


Image
비만세포가 활성화되기 위한 다양한 작용들이 있는데, 그중 IgE 에 의한 활성화가 알레르기 원인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IgE는 주로 선모충, 간충 등의 연충에 대한 면역기능을 주로 담당하는데, IgE 가 꽃가루등의 알러겐을 항원으로 인식하면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비만세포는 다량의 high-affinity IgE receptor(FceRI)를 가지는데 이 수용체는 면역 항체 중 하나인 IgE 항체와 결합력이 매우 높다. IgE와 비만세포의 FceRI 수용체가 결합한 상태에서 IgE가 알레르겐과 결합하게 되면 비만세포가 활성화된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서 히스타민, 류코트리엔,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면역물질들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때 점막부종, 점액 분비증가 등의 조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비만세포가 분비하는 TNF-alpha 는 호산구나 T 림프구의 유입을 촉진을 돕고, IL-4, IL-6, IL-13 등은 Th2 세포를 활성화한다. 활성화된 Th2는 IgE 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염증반응 등을 발생시킴으로써 만성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데 영향을 미친다.

참고문헌 #

  1. 안강모. 2004. 비만세포의 알레르기 염증반응과 Innate Immunity 에서의 역할.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7. No. 11. 2004 1137-1141
  2. 김희규. 2017. 알레르기 염증에서의 비만세포 역할과 비만세포 관련 질환. AARD. Sep;5(5):248-255
  3. 위키피디아 비만세포
  4. 위키피디아 면역글로불린E

Incoming Links #

Related Bioinformaticses #

Suggested Pages #

0.0.1_20230725_7_v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