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분석단계산출물 #
Find similar titles

분석단계 산출물 #

SI 사업에서의 분석단계 산출물은 고객이 원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이다. 일반적으로 사업 초기 단계에 작성을 진행하며 분석부터 설계, 개발, 배포 및 유지보수로 이어지는 전 단계 중 고객과 업체 간의 가장 긴밀한 협의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산출물이다.

분석단계 산출물의 필요성 #

SI 사업에서 목표로 하는 시스템에 대한 명세는 제안요청서(RFP)에 기재가 되어있지만, 제안요청서에 서술되는 내용은 그 범위나 표현이 구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개발로 연결되기에는 여러 면에서 부족함이 있다. 분석단계에서는 이 제안요청서의 내면에 숨겨져 있어 완전하게 드러나지 않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며, 그 과정에서 분석단계 산출물이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분석단계 산출물의 종류 #

산출물적용계획표
개발표준정의서
현행시스템분석서
요구사항정의서
요구사항추적매트릭스
시스템다이어그램
과업대비표
용어사전

산출물적용계획표 #

모든 산출물의 기본이 되는 문서로, 사업을 진행하며 작성할 산출물의 종류를 정하여 기재하게 된다. 보편적으로 작성되는 산출물들을 기본으로 하여, 고객과의 협의를 통해 어떤 산출물을 추가하거나 생략할지를 정하고 그 최종결과로 나온 산출물을 적으면 된다.

개발표준정의서 #

SI사업을 통해 시스템을 개발할 때는 개발의 기반이 되는 컴퓨터 언어부터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언어와 프로그램들이 사용되고, 이 개발 도구들은 개인이 아닌 다수의 사업 참여자들이 활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구들을 사용할 때 명확한 공동 규칙을 정해놓지 않으면 그 불명확한 만큼의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이는 나아가서 대규모 시스템일 경우 구축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서 사업초반 개발표준정의서를 작성하여 이 문서에 각 개발도구를 사용할 때 공통적으로 지켜야 할 규칙들을 기재해놓고 개발자들이나 개발도구를 활용하는 구성원들이 지침으로 삼게 된다.

현행시스템분석서 #

SI사업은 새롭게 시작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연차사업으로 수 년 간 진행을 하기도 한다. 이 때 새로운 사업의 진행을 맡은 업체는 이전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명확하게 파악을 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모든 구성원들과 공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행시스템분석서를 작성하게 되며 이 문서에는 기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부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성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기존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기재한다.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는 경우에는 운영과 관련된 정보 역시 문서에 기재할 필요가 있다.

요구사항정의서 #

요구사항정의서는 분석단계산출물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라고 할 수 있다. 고객이 원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정리하기 위한 문서로, 고객과 긴밀하게 협의하고 공유하며 시스템 개발에서 고객이 원하는 내용을 세밀하게 기재해야 한다. 보통 제안요청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제안요청서의 요구사항 항목별로 고객의 원하는 내용을 상세하게 서술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고객의 의견을 잘 청취하는 것도 중요하고 한편으로는 제안요청서에 담겨있는 고객의 궁극적인 니즈를 잘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요구사항추적매트릭스 #

요구사항추적매트릭스는 요구사항정의서의 요구사항들이 어디서부터 왔고, 실제 시스템에 어떤 식으로 구현이 되었는지를 추적관리하기 위한 문서이다. 요구사항과 최종 시스템, 그리고 산출물들을 엮어주는 중심축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잘 작성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용어사전 #

SI 사업의 시스템은 대체로 전문적인 분야와 연관되어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정의 후 수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주관기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사전을 사용하지만, 대부분 사업은 용어사전이 없거나 있더라도 미비할 경우가 많기에 고객과 협의 및 관련 자료를 요청하여 사업에 적합한 새로운 용어사전을 작성/개량해야 할 필요가 있다.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