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화장품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Structured data
- Category
- Biology
Table of Contents
바이오화장품 #
바이오화장품 개념 #
바이오화장품은 인공적으로 합성한 화장품과 달리 생물이 자연적으로 만들어 내는 물질(천연성분 또는 대사산물)을 응용하고 바이오테크놀로지(생명공학·Biotechnology·BT)를 적용해 만든 화장품으로 다양한 피부 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을 말한다. 업계에서는 생명공학 화장품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바이오화장품 배경 #
소비자들의 지식 수준이 높아지고 화장품 업체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술적 혁신과 브랜드 차별화는 더욱 중요해졌다.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고기능성 제품에 대한 새로운 니즈와 바이오 기술 및 피부과학의 발전을 바탕으로 한국 화장품의 기술 수준이 꾸준히 향상되었다. 고령화 사회 진입과 안티에이징(노화방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앞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 화장품시장은 바이오 화장품이 주류로 부상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바이오화장품 시장 동향 #
화장품의 매출은 경기변동과 밀접하고, 여름보다는 겨울철에 더욱 많이 소비되는 경향이 있으나 바이오화장품 등 기능성화장품은 경기변동이나 계절성에 둔감하다. 고속성장을 지속 중인 한국 화장품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바이오화장품을 통해 성장 동력을 강화하고 있다.
2010 ~ 14년 한국 화장품 생산 실적은 연평균 10.5% 성장, 수출은 34.3% 급증
- 화장품 생산실적은 2010년 6.0조원에서 2014년 9.0조원으로 0.5배 증가하였으며, 수출금액은 6.0억불에서 18.0억불로 3배 증가
바이오화장품을 포함한 기능성화장품 시장은 같은 기간 연평균 18.3%씩 성장하여 전체 시장 내 비중도 25%에서 33%로 4년간 8%p 증가
- 화장품 원료공급, 자체 브랜드 출시 등을 통해 제약사와 바이오기업들의 화장품 시장 진출도 기능성화장품의 성장에 기여
보건복지부는 ‘2015년 R&D사업’ 가운데 항노화화장품 개발에 신규로 1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환경부의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 5월 ‘생물자원 산업화 로드맵’을 마련하고 올해부터 생물자원의 유용성 연구와 생물산업소재의 발굴을 본격 추진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기능성화장품 관련 법규를 손질하고 있다. 화장품 및 기능성화장품 유형을 총리령 위임으로 신설하고, 국내에만 존재하는 기능성화장품 심사는 수출전용 기능성화장품 일부사항을 수입국의 규정에 따르게 할 계획이다.
바이오화장품의 발전 분야 및 사례 #
바이오화장품 원료나 소재로 1. 히알루론산 생성 효소 2. 미생물을 활용한 사포닌 대량 생산 3. 모낭줄기세포를 활성화한 탈모치료제 4. 남조류(Cyanobactera)의 천연 자외선 차단 배양 5. 고순도 바이오콜라겐 6. 줄기세포배양액 7. 인공거미줄 단백질 8. 발효 기술을 이용한 고기능성 발효 한방 화장품 9. EGF(상피세포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를 이용한 화상, 피부궤양 치료 등을 꼽을수 있다.
바이오화장품의 미래 #
글로벌 화장품 연구·개발(R&D) 시장은 안티에이징(노화방지)을 위한 융복합 기술의 집합체로 거듭나고 있다. 감성적인 요소가 중요한 화장품 산업의 특성상, 이 같은 흐름은 오는 2020년 무렵이면 과학적 심리학 연구와 신경 과학의 융합으로 개인맞춤형과 뉴로코스메틱스까지 확장될 것이며, 향후 화장품 시장의 최대 유망 분야가 될 전망이라고 예측
바이오화장품 주요 트렌트 키워드 #
① # 바이오 소재
② # 천연 추출물
③ # 천연 화장품
④ # 한국 고유의 원료 활용 증가
⑤ # 기능성 화장품의 성장
⑥ # 선호아시아/태평양 지역, 특히 중국 중요성 증대
⑦ # 자연(Nature),유기농(Eco Friendly),고기능성(Cosmeceutical),그린코스메틱(Green Cosmetics)
Reference #
- Weekly 포커스 "화장품 한류의 미래 바이오 화장품이 이끈다",2015.05.26,LG경제연구소
- KB지식비타민 "화장품산업의 새로운 트렌드, 바이오화장품",2016.03.07(16-17호),KB금융지주경영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