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B형간염바이러스
#
Find similar titles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Table of Contents
발견 및 분류 #
Hepadnavirus famaily #
- Hepadnavirus : Hepatoma + DNA + virus의 합성어
[출처 : google]
Epidemiology & Pathology #
- 국내에서는 약 4% 이상의 만성 감염자가 존재
- 만성감염과 급성감염으로 분류
- Liver cirrhosis 으로 발전
- Hepatocellular carcinoma (HCC)로 최종 발전
Prevention & Therapy #
- Recombinant HBsAg vaccine
- 5 FDA approved drugs : nucleos(t)ide analogs
- Lamivudine
- Adfovir
- entecarvir
- tenofovir
- telbivudine
- 5년 이상의 장기간의 투약이 필수적이나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함 (예외적으로 완전히 치료되는 경우도 존재)
입자 및 게놈 구조 #
입자 구조 #
- 표면항원으로만 구성된 서브 입자
- 표면항원은 L-,M-,S- HBsAg로 구성
- L-:M-:S-=1:1:4 의 비율로 존재
- Core항원 (HBcAg)으로 구성된 캡시드 속에는 DNA게놈과 HBV Pol 단백질이 존재
[출처 : google]
게놈 구조 #
- 캡시드 안에 약 3.2kb의 DNA 게놈을 가짐
- Circular partial duplex DNA : circular dsDNA이지만 한가닥의 틈이 없는 gap이 있는 구조
- 5' 말단에 Pol단백질과 RNA가 각각 붙어 있음
- (-)DNA 5'말단에 Pol 단백질이 공유결합으로 연결
- (+)DNA 5'말단에 RNA(18nt)가 공유결합으로 연결
- 이 두분자는 각각 DNA 합성에 primer로 작용
[출처 : google]
단백질 코딩 #
- 4개의 ORF: C(core), P(Polymerase), S(Surface antigen), X ORF
생활사 (전체추가) #
HBV는 간세포를 특이적으로 감염한다. 간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용체를 통해 진입하므로 간세포 친화성을 가진다고 믿어진다.
- 진입: 바이러스 입자가 간세포에 부착한 후, endocytosis로 세포 내로 진입한다. 바이러스 입자가 간세포에 부착할 때,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 노출된 L-HBsAg의 pre-S1 도메인이 수용체와 직접결합하여 진입을 촉진한다고 믿어지고 있다. 2014년에 간세포의 세포막 단백질인 NTCP가 HBV 수용체로 보고되었다. 세포질에 진입 후, 캡시드는 세포질 이동을 통해 핵 근처로 접근한다. 다른 DNA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핵공 근처에서 캡시드가 벗겨진 후 게놈DNA만 핵공을 통해 핵으로 들어간다.
- cccDNA 전환: 핵 진입 후, partial duplex DNA의 gap이 채워져 cccDNA로 전환이 된다. cccDNA는 간세포에서 사라지지 않고 바이러스를 복제한다.
- RNA 전사: cccDNA를 주형으로 RNA polmerase II가 pgRNA, Pre-S transcript, S transcript, X transcript 4개의 바이러스 RNA를 전사한다.
- 단백질합성: 가장 큰 3.5kb의 pgRNA는 core와 pol 단백질의 mRNA로 작용할 뿐 아니라 DNA 게놈복제의 주형으로 사용이된다.
- 패키징: pgRNA만이 패키징되어 DNA합성에 주형으로 작용한다. Pol이 pgRNA에 붙어서 RNP 복합체를 구성한다. RNP 복합체에 core 단백질이 결합하면서 캡시드 조립을 하게 된다.
- 게놈복제: HBV 게놈 복제는 HIV와 같은 역전사 반응으로 수행이 된다. 패키징된 pgRNA를 주형으로 하여 음성가닥 DNA를 합성한다. 합성할때 Pol이 RNaseH활성이 있어 주형 가닥을 복제하며 제거한다. 생성된 음성가닥DNA를 주형으로 다시 양성가닥 DNA가 합성이되고 복제가 완료가 된다.
최근동향 (전체추가) #
현재는 HBV의 Pol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는 Lamivudine, entecarvir를 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는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한다. 2014년 HBV의 수용체가 발견된 이후 바이러스 진입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연구중이다.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생활사가 HBV는 연구가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완전한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수용체의 발견으로 인해 이를 타겟으로하는 항바이러스제들이 개발될 것이다. 또한 B형간염바이러스 복제의 핵인 cccDNA를 다양한 국가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cccDNA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토대로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