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개요 #
생물정보학이 가질 가치 중 기대되는 것은 인간(개인)의 유전체 분석(sequencing)을 통한 미래 치료 기술로 맞춤의학이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생체 분자의 데이터에 따라 어떠한 질병에 위험성을 가지고 있고, 어떠한 약이 더 효과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뜻이다. 정확하고 빠른 sequencing 기술과 더불어 약물전달시스템 분야의 학습 또한 함유되어야 맞춤의학, 신약 개발 등 생물정보와 의학/약물 분야가 융합되어 더 큰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약 산업과 바이오산업에서는 신약 개발과 더불어 맞춤의학으로 인한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에 관심을 두고 있다.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 #
정의 #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 이란?
: 개인이 가지고 있는 생체 분자의 데이터, 유전체형에 맞는 개인 맞춤화된 질병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에 목적을 두고 있는 연구와 의료
등장 배경 #
-컴퓨터과학, 실험기법, 실험장비 등의 발달
: 하나의 시험관에서 하나의 실험만 가능하던 과거와 달리 microwell 이나 chip의 등장으로 수천수만의 실험을 동시에 진핼 할 수 있게 되었다. 자동화된 실험장비로 사람이 하나하나 진행하던 방식에 비해 속도가 매우 빨라졌다.
-신약 개발의 어려움
: 신약 개발이 성공을 이루기 위해서는 약 8억 달러와 15년 이상의 오랜 시간이 걸림에도 불구하고 매년 제약업계의 연구 개발의 생산성은 떨어지고 시장 진입에 성공한 신약의 수도 줄어들고 있다.
사례 #
Genentech에서 개발한 Herceptin
`
: Herceptin이라는 치료제는 전이된 유방암에 이용되는데, 이때 환자의 유전자에서 HER2 라는 유전자가 과발현된 상태에서만 투여한다. 이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분야 #
정보기반의학 #
다양한 임상 데이터와 생물학적 데이터를 IT 시스템을 통해서 진단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진료 방법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약물유전체학 #
인간 유전자의 염기서열과 그에 따른 기능, 전사체, 단백질 그리고 생화학적 pathways를 연결해서 유전자와 질병 사이의 관계를 규명 짓고 표적 기반 신약 발굴 및 개별화된 약을 처방할 수 있게 하는 학문
Future perspective #
앞으로의 치료는 개인의 유전적 정보뿐만 아니라 개인의 생활 습관에서 부터 연관되는 만성질환에 목적을 두고 있는 변환의학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개인의 생체정보 데이터와 코호트 연구로 밝혀진 생활 습관 데이터베이스가 합쳐져 진단에 오류를 줄이고 인공지능의 도입으로 personalized health care까지 발전할 것이다.
Incoming Links #
Related Bioinformaticses (Bioinformatics 0) #
Suggested Pages #
- 0.936 식품 데이터 비즈니스
- 0.044 위댄스
- 0.012 IT media
- 0.008 Suggest
- More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