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난태생 #

Find similar titles

1회 업데이트 됨.

Edit
  • 최초 작성자
  • 최근 업데이트

동물의 출생 형태 #

진화적으로 동물의 번식 방법으로 태생, 난생, 난태생으로 크게 구분된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태생, 그외 조류를 비롯한 파충류및 어류는 난생의 방식으로 번식하는데, 이들 가운데 진화적으로 중간쯤 존재하는 일부 물고기류와 파충류에서 난태생이 발견된다.

1. 태생: 기본적으로 체내 수정과 함께 수정된 수정란이 어미의 태반을 통해 성장하여 태아까지 성장한 후에 출생된다.
2. 난생: 체내수정과 체외 수정이 모두 있으며, 수정란은 어미의 몸체가 아닌 외부에서 수정난에 포함된 난황으로 부터 영양을 공급받아 성장후에 부화한다.
3. 난태생: 체내 수정을 수반하며, 태생과는 다르게 태반 형성이 되질 않고 수정란의 난황으로 부터 영양을 공급 받아 성장한 후에 부화시에 어미 몸으로 부터 분리되어 나온다.

난태생(Ovoviviparity) #

해양생물의 난태생은 보통 상어류나 홍어류의 연골 어류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간혹 경골어류인 조피볼락, 구피 등도 난태생으로 번식하는데, 이들의 진화적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난태생은 성장을 위한 영양분은 어미의 태반이 아닌 난생과 동일한 난황으로 부터 공급 받고, 어미 몸체로부터는 가스 교환(호흡)을 제공 받는다. 뿐만 아니라 일찍 부화한 개체의 경우 충분히 발달이 되지 않았을 경우 아직 부화되지 않은 배아를 섭취함으로써 어미 몸체에서 최대한 성장을 이룬 후에 밖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현상은 새기까 바다에서 더 오래 생존 될수 있도록 하는 생존 본능의 일종으로 어미 자궁내 현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렇듯 난태생은 태생의 난황 발달과 같은 특징과 태생의 부화 및 자궁내 섭식의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어 유전체 연구에 있어 흥미로운 소재를 제공한다.

난태생 연구를 위한 관련 유전자 군 #

  1. 난황 발달 ( Yolk ), 태반 퇴화 (Placenta), 부화 기전 (Zona Pellucida) 관련 유전자

    gene category
    cathepsind Yolk
    transglutaminase Yolk
    vtg_receptor Yolk
    vtg1 Yolk
    vtg2 Yolk
    vtg3 Yolk
    cds1a Placenta
    cdx4 Placenta
    ets2 Placenta
    gcm1 Placenta
    hb58 Placenta
    hgfb Placenta
    hxt Placenta
    igf2 Placenta
    mash2 Placenta
    ncoa6 Placenta
    ppara1 Placenta
    ppara2 Placenta
    pparab Placenta
    pparg Placenta
    alveolin Zona Pellucida
    choriogeninH Zona Pellucida
    choriogeninH-minor Zona Pellucida
    choriogeninL Zona Pellucida
    choriolysinH Zona Pellucida
    choriolysinL Zona Pellucida
    zpax Zona Pellucida
    zpc1 Zona Pellucida
    zpc2 Zona Pellucida
    zpc3 Zona Pellucida
    zpc4 Zona Pellucida
    zpc5 Zona Pellucida
    zvep Zona Pellucida

Reference #

  1. Schartl, M. et al. The genome of the platyfish, Xiphophorus maculatus, provides insights into evolutionary adaptation and several complex traits. Nat Genet 45, 567-72 (2013).
0.0.1_20231010_1_v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