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국내 코호트 연구 #
Find similar titles

코호트 연구 #

  • 코호트 연구(Cohort study)는 어떤 특성을 공유하는 집단 구성원들을 장기간 추적조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위험요인들과 질병 발생 간의 원인적 연관성을 밝히는 의학 연구방법이다. 국내 코호트로는 최초의 한국인 대상 연구 코호트로 일반인집단 대상 질병 발생 위험요인 연구를 위한 코호트와 유전-환경 상호작용 모델 연구를 위한 코호트가 있다.

국내 대표적인 코호트 연구 #

  • 일반 인구집단 코호트로는 안성, 안산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도시기반 코호트, 농촌기반 코호트가 있으며, 유전-환경 상호작용 모델 연구 코호트로는 쌍둥이 코호트, 국내 이주자 코호트, 해외 이주자 코호트가 있다.
  • 안성/안산 코호트는 2001년에 시작하여 그 지역에 거주하는 40~69세 남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015년까지 7차의 추적조사를 진행하였다. 안성에서는 5,018명, 안산에서는 5,012명이 참여하였다. 중점질환으로는 고혈압과 당뇨이었으며 현재 자료를 분양 중이다.
  • 농촌기반 코호트는 2005년을 기점으로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모집하여 진행되었으며, 2007년 추적조사 시작해서 계속해서 추적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참여자 수는 28,338명이다.
  • 도시기반 코호트는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007년 추적조사를 시작하여 계속해서 추적조사를 진행 중이다. 참여자 수는 173,357명이며, 현재까지 구축된 자료들은 분양하여 제공되고 있다.
  • 쌍둥이와 가족 코호트는 2005년에 시작되어 서울과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쌍둥이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2008년 추적조사를 시작으로 2014년 추적조사를 완료하였다.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부분은 유전적 배경이 같거나, 유사한 가족 구성원 간의 환경적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참여자 수는 3,399명에 달하며, 조사자료는 공개분양 중이다.

국내 코호트 연구성과 #

  • 코호트 연구를 통해 수집된 21만 명에 대한 임상, 역학, 생체 시료 등 대규모 코호트 자료를 보건의료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이며, 그 외 논문, 특허 등의 성과는 548건이 창출되었다.

Image <그림1>대상 질환별 코호트 연구성과 50선

출처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코호트 우수성과 50선

Reference #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코호트 우수성과 50선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