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국가직무능력표준 #
Find similar titles

국가직무능력표준 개요 #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한 것으로, 「자격기본법」 제5조, 같은 법 시행령 제6조제1항에 따라 국가직무능력표준 고시(고용노동부고시 제2016 - 33호)되었고, 2017년, 2018년에 1번씩 개정되었다. NCS는 기업/기관이 각각 다른 입사시험을 진행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고 불공정하다는 인식에 대한 해결책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구체적인 직무를 제시하고 직무 능력을 중심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On-Spec 능력에 집중합니다.

작성 배경 #

정보화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해당 사업의 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FP(Funtion Point, 기능점수)를 이용한 방식이며, 유지관리 사업이나 기획단계에서 대략적인 비용을 산출할 때에는 MM(Man per Month, 투입공수)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투입공수 방식으로 산출내역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투입인력의 등급별 평균임금을 알아야 하는데 이 정보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홈페이지 에서 확인한다.

그런데, 2018년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에서 공표한 SW기술자 평균임금 자료를 보면 기존에 공표한 내용과 조금 다른 부분이 있다.

Image

노란색으로 표시한 ※ 등급별 평균임금은 2019년에는 공표하지 않고, IT직무별 평균임금을 공표할 예정임 이라는 부분이다.

이 부분을 해석해보면 투입공수 방식으로 산출내역을 작성할 시, 기존에 사용하던 등급(기술사, 특급, 고급, 중급, 초급기술자 등)별 평균임금은 2019년 8월 31일까지 적용하고, 이후로는 IT직무별 평균임금을 적용하여 산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투입공수 방식으로 산출내역 작성 시 SW기술자 평균임금이 등급별에서 직무별로 변경되기에, NCS기반의 IT직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IT직무별 평균임금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먼저 IT직무별 평균임금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자.

Image

위와 같이 IT 업계에 직무는 28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자료입력원은 IT직무에 해당하지 않음) 해당 직무별 평균 임금이 공표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점은 기존 등급별로 평균 임금을 적용했을 때는 자격에 대한 분류 기준이 있어서 내가 어디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기사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3년 이상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에서 일정기간 경력을 갖추거나 근무한 사람인 경우는 중급 기술자이다. 하지만 직무별 평균 임금을 적용했을 때는 자격에 대한 분류 기준이 나와 있지 않아 조금 애매한 상황이다. 간략한 직무 정의는 되어 있으나 명확한 분류 기준이 없다. 2019년에는 등급별 평균 임금 대신 IT직무별 평균 임금이 공표되는 만큼 명확한 분류 기준이 마련되리라 사료된다.

NCS 분류 #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분류는 직무의 유형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단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등을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 대분류(24) → 중분류(78) → 소분류(241) → 세분류(948개)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Image

  • 출처 : NCS국가직무능력표준, NCS 분류

이 중 IT 분야에서 수행하는 직무는 28가지이며, 해당 직무에 대한 직무기술서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NCS 학습모듈 #

학습모듈은 말 그대로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한 직무 요구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학습 자료이다. NCS 학습모듈은 구체적 직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이론 및 실습과 관련된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Image

실제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절차대로 수행해 본다.

  1. NCS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오른쪽 Quick Menu에 있는 NCS 및 학습모듈 검색 메뉴를 클릭한다.
  2. 분야별검색, 키워드검색, 코드검색 중 하나를 택일하여 나의 직무에 맞는 분류군을 선택한다.
  3. 검색결과, NCS/학습모듈검색 페이지가 나타나며, 해당 페이지 내용을 잘 읽어본 후 학습한다.

NCS 구성 #

  1. 직업기초능력 직무수행능력을 최대로 발휘하기 위해 대부분의 산업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능력이다. 즉 직무수행을 위한 전반적인 능력을 말한다.

  2. 직무수행능력 특정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실질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기업/기관은 특정 직무에 필요한 능력을 범주화하여 이를 명시해 놓고, 공지한 직무수행능력을 중점적으로 지원자를 평가한다.

NCS 평가방식 #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전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서류전형 #

입사지원서, 직무능력소개서, 자기소개서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세 가지는 기업에 따라 바뀌기도 한다.

- 입사지원서 : 해당 기업/기관의 모집분야별로 직무수행에 필요한 스펙(On-Spec)을 기재한다.
- 직무능역소개서 : 입사지원서에서 작성한 경력 및 경험사항에 대해 자세히 기술한다.
- 자기소개서 : 지원 동기와 조직적합성, 직업기초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 문항으로 작성하는 것을 장려한다.

2. 필기전형 #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따로 평가하는 문제가 출제되거나, 둘이 혼합된 문제가 출제되기도 한다.

3. 면접전형 #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한다. 그러나, 기업/기관마다 방식을 다르다.

0.0.1_20210630_7_v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