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기성
#
Find similar titles
- (rev. 3)
- jhkim
광주기성 #
많은 식물은 phytochrome이나 cryptochrome과 같은 광수용체 단백질(photoreceptor protein)을 이용해서 밤의 길이에 따른 계절의 변화나 광주성을 감지한다. 광주기성은 식물 생장, 광합성 및 호흡량에도 영향을 주지만 가장 큰 차이는 개화기에 영향을 준다.
장일식물 #
장일식물(Long-day plants, LDP)는 한계일장보다 긴 일장 조건에서 개화하거나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을 말한다. 질적 장일식물과 양적 장일식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질적 장일식물이란 그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한계일장보다 조금이라도 짧은 일장 조건에서는 전혀 개화하지 않는 식물을 말하며 절대적 장일식물이라고도 한다. 그 반대로 양적 장일식물이란 한계일장보다 긴 일장 조건에서는 물론 한계일장보다 조금은 짧은 일장 조건에서는 개화가 이루어지며 장일 조건이 될수록 더욱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을 상대적 장일식물이라고도 한다.
단일식물 #
단일식물(Short-day plants, SDP)은 개화에 있어서 장일식물과는 반대의 일장반응을 보이는 식물로 한계일장보다 짧은 일장 조건에서 개화하거나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로서 질적 단일식물과 양정 단일식물이 존재한다.
육종적 활용 #
작물 재배 측면에서 개화가 빨라진다는 것은 충분한 영양생장을 진행하지 못한 체 생식생장 단계로 넘어가게 되므로 식물의 성장이나 최종 산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만 육종하는 작물의 경우 세대 진전을 빠르게 하여 유전체를 균일하게 하는 고정에 단계를 거처야 하는 데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장일식물의 경우 별도의 조명 장치를 설치하여 광주기성을 조절할 수 있고 단일식물의 경우 암막 장치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