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감수분열([Meiosis]) #
감수분열(meiosis)은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의 생식세포 형성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분열이다. 유성생식을 하는 대부분의 다세포생물은 감수분열을 통하여 정자와 난자라는 생식세포 또는 배우자를 만들고, 이들이 융합하여 접합체를 형성하여 새로운 개체를 탄생시킨다. 감수분열이 일어나는 과정은 체세포분열과 같지만, 연속 2회의 분열이 일어남으로써 염색체 수가 일반 체세포의 절반으로 줄어들게 되며, 이들은 수정(fertilization)이라는 핵융합 과정을 통해 원래의 염색체 수를 회복하게 되므로 결국 양친유전(biparental inheritance)을 하게 된다.
분열과정 #
감수분열은 간기가 없는 2회의 연속 분열로 진행되는데, 제1분열은 염색체 수가 반감되는 이형 핵분열이며 제2분열은 체세포분열과 같은 동형 핵분열이다.
감수분열을 통해 결국 부계 또는 모계 염색체는 반으로 나뉘어 4개의 딸세포를 형성하게 되고, 핵 속에는 모세포(2n)의 절반에 해당하는 염색체(n)를 가지게 된다.
제 1분열 #
- 간기 : 핵 속의 DNA가 복제되어 유전 물질의 양이 2배로 증가한다.
- 전기 : 염색사가 염색체로 변하고 상동 염색체들이 접합하여 이가 염색체(bivalent chromosome)를 형성하게 되며, 방추사가 나타난다.
- 중기 : 핵막이 소멸되며 방추사가 동원체에 부착한다. 2가 염색체가 적도판에 배열된다.
- 후기 : 상동 염색체의 동원체가 분리되고, 방추사에 의해 염색체가 양쪽 극으로 끌려간다.
- 말기 : 핵막이 나타나고,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 2개의 딸세포가 형성된다.
제 2분열 #
간기가 없어 DNA 복제가 일어나지 않으며, 염색분체가 분리되어 각각의 딸세포로 들어가게 된다. 짧은 시간의 전기를 거쳐 방추사가 형성되면서 중기가 시작된다. 중기에서는 염색체가 적도판에 배열되고 동원체가 분리되어 염색분체가 양극으로 이끌려 가는 후기가 시작된다. 말기에 핵막이 나타나고 염색체가 염색사로 풀어지게 되며,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 결국 4개의 딸세포가 생기게 된다.
감수분열 결과 #
감수분열은 한 번의 DNA 복제로 두 번의 세포분열이 일어나므로 형성된 4개의 세포는 반수체로서 어버이에 비해 반 량의 DNA를 갖게 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감수분열 [meiosis] (동물학백과)]